-
중구난방 그 뜻과 유래는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 자기 의견을 제시할 때 중구난방이라고 표현하는데요, 중구난방 뜻은 무엇이며, 그 유래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문으로는 衆口難防이라고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衆 : 무리 중, 口 : 입 구, 難 : 어려울 난, 防 : 막을 방'이며, 그 뜻은 여러개의 입을 막기 어렵다, 즉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지껄인다는 말로, 여러 사람의 입을 막기는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하면 여러사람의 의견을 막을 방법은 없다는 것이지요. 중구난방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나라 여왕 때 이야기인데요, 여왕은 백성이 입을 열지 못하도록 탄압해 날이 갈수록 백성들의 원한이 쌓여 갔으며, 참다 못한 소공이 여왕에게 충언을 했습니다. "지금 백성은 생활이 고통스러워 군주를 원망..
성어속담
2015. 9. 2.
-
치질치료는 올바른 배변습관과 좌욕 방법으로 고칠 수 있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치질은 치핵과 같은 말이며, 잘못된 배변습관에서 비롯되는데, 치질치료는 올바른 배변습관과 좌욕 방법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변기에 앉아 신문을 본다거나, 항문에 무리가 가는 좁은 의자에서의 생활 등은 치질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치질이 흔히 발생하는 경우는 임신, 불규칙한 배변이나 변비, 설사, 직장 질환이 있는 경우와 주로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이며, 치질이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위와 같은 습관이 지속되면서, 항문 또는 직장 주위 의 정맥 혈관이 늘어나고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치질이 생기면 늘어난 정맥을 둘러싸고 염증이 생기거나 혈관 속에서 혈액이 응고되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통증, 심하면 출혈을 일으키게 되는데, 수술적 치료 이전에 잘못..
건강정보
2015. 9. 1.
-
모과 효능 참으로 다양하네요
낙엽관목에 속하는 모과나무는 여러 가지 질환에 쓰이는데, 모과 효능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모과는 내한성이 강하며 주로 유실수, 정원수 분재로 재배하는데, 키는 10m 정도이며, 가지는 갈색이며, 잎은 서로 어긋나고 타원형입니다. 암수가 다른 꽃은 연한 붉은 색이며 짧은 가지에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리며 열매는 타원형이며, 가을에 노란 색으로 익으며, 조경용,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있습니다. 모과는 거풍습, 감기, 기침, 가래, 거담, 이질, 근육통에 효능을 보이는데, 모과나무의 가지와 잎을 다려 마시면 토사곽란(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면서 배가 질리고 아픈 병)을 멎게하고 각기병 (팔과 다리의 신경과 근육이 약해지고 굳는 병)을 고치는 작용이 있습니다. 또 다리에 쥐가 나는..
건강정보
2015. 8. 24.
-
중과부적 뜻과 유래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 중에는 중과부적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중과부적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 뜻은 적은 무리로 많은 수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의미이고, 한문으로는 衆寡不敵으로 표기하며, 개별 한자의 뜻은 '衆 : 무리 중, 寡 : 적을 과, 不 : 아니 부, 敵 : 대적 할 적'입니다. 우리는 흔히 어떤 상대와 승부를 할 때 숫자가 부족하면 "중과부적이야." 라고 표현하지요. 즉, 수가 적어 도저히 상대가 되지 않거나, 그럴거라고 예상될 때 "어휴~ 중과부적이네." 라는 표현을 쓸 수가 있습니다. 중과부적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국시대 천하를 돌아다니며, 왕도정치를 주장한 맹자가 이번에는 제나라에 도착해 선왕을 만났습니다. "전하, 방탕한 생활을 하면서 천하를 움켜지려는 것은 나무에 올라..
성어속담
2015.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