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외시 뜻과 유래는
많이 사용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도외시라는 말이 있는데요, 도외시 뜻은 정도 밖을 본다는 말로, 상관하지 않거나 무시한다는 의미이며, 한문으론 度外視라고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度 : 법도 도, 外 : 바깥 외, 視 : 볼 시'이고, 도외시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후한 광무제 때 일인데요, 광무제 유수는 한나라를 빼앗아 신나라를 세운 왕망을 멸망시키고, 유현을 새로운 황제로 삼아 한나라를 다시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자신은 대사마가 되어 동마, 적미 같은 반란군을 무찌르며 한나라 재건에 힘썼으나, 이미 쇠퇴 해버린 한나라는 그리 쉽게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병사들은 유수가 새 황제가 되어야 한다면서 목소리를 높였고, 그래서 유수는 새로운 황제가 되어 새로운 나라를 건설했는데, 그 나라가 바로 후한이며..
성어속담
2015. 9. 16.
-
제1차 왕자의 난 무인정사 간략 요약 보기
1398년(태조 7)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일어난 제1차 왕자의 난을 무인정사라고도 하는데, 그 전개과정을 간략하게 요약 정리해 보았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8남 5녀의 자녀를 두었는데, 방우, 방과, 방의, 방간, 방원, 방연 6형제는 신의 왕후 한씨가 낳았고, 방번과 방석은 신덕 왕후 강씨가 낳았습니다. 신의 왕후는 태조가 젊었을 때 맞은 부인이며, 신덕 왕후는 나중에 얻은 부인이었으나, 신의 왕후가 태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세상을 떠나 신덕 왕후가 정실 왕비가 되었습니다. 조선 건국 후에 큰 관심사는 누구를 세자로 책봉하느냐 하는 것이었고, 신하들은 새나라 건국에 공이 매우 큰 다섯째 왕자 정안 대군(방원)을 밀었으나, 태조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큰아들 방우는 대궐을 떠나 버렸고, 방원은 성격이 과..
한국역사
2015. 9. 12.
-
c형 간염 예방하는 방법은
HCV라 불리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C형 간염 예방은 혈액에 노출된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학자들이 분류한 간염을 일으키는 5가지 바이러스는 A~E까지 있으며, 그 중 B, C, D형은 급성에서 부터 만성 간염을 유발하며, A, E형은 급성 간염만 유발합니다. 따라서 A, E형은 한 번 앓고 나면 항체를 획득하여 간염의 후유증이 없는 경우가 많고, B, C, D형은 만성 간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를 필요로 합니다. C형 간염을 일으키는 HCV 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서만 전파되며, 감염되었을 때 환자마다 증상의 정도는 매우 다릅니다. 바이러스는 한 번 몸 속으로 들어오면 평생 잔존하며 일부의 경우 수년에 걸쳐 간경화, 간부전, 간암 등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C형 간염..
건강정보
2015. 9. 9.
-
조삼모사 뜻과 유래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단어 중의 하나인 조삼모사 뜻과 유래를 알아볼까요? 이 단어의 뜻은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말로, 간사한 꾀로 남을 속인다는 의미입니다. 한문으로는 朝三暮四로 쓰며, 개발 한자의 풀이는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물 모, 四 : 넉 사' 이며, 조삼모사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원숭이를 좋아해서 집에 여러 마리를 기르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가족이 먹을 양식마저 원숭이에게 먹일 정도로 지극했고, 원숭이 표정만 보고도 원숭이의 마음을 알 경지에 이르러 원숭이들도 저공을 잘 따랐습니다. 그렇게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식량은 금방 동이 났고, 그래서 도토리를 먹였는데, 도토리 또한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어쩔수..
성어속담
2015.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