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사용하는 고사성어 중 하나인 도외시라는 말이 있는데요, 도외시 뜻은 정도 밖을 본다는 말로,
상관하지 않거나 무시한다는 의미이며, 한문으론 度外視라고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度 : 법도 도,
外 : 바깥 외, 視 : 볼 시'이고, 도외시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후한 광무제 때 일인데요, 광무제 유수는 한나라를 빼앗아 신나라를 세운 왕망을 멸망시키고, 유현을
새로운 황제로 삼아 한나라를 다시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자신은 대사마가 되어 동마, 적미 같은 반란군을 무찌르며 한나라 재건에 힘썼으나, 이미 쇠퇴
해버린 한나라는 그리 쉽게 회복되지 않았습니다.
병사들은 유수가 새 황제가 되어야 한다면서 목소리를 높였고, 그래서 유수는 새로운 황제가 되어
새로운 나라를 건설했는데, 그 나라가 바로 후한이며, 황제에 오른 유수가 바로 광무제입니다.
황제에 오른 광무제는 천하를 통일하기 위해 계속 전쟁을 했으며, 마치내 중원은 모두 평정했는데,
서쪽 변방이 문제였습니다.
여전히 강력한 외효와 공손술 두 사람은 항복하지 않고 자기 땅에서 세력을 굳건히 하고 있었습니다.
"저 둘은 중원에서 떨어져 있다는 지리적 이점만 믿고 살력을 행사하니 용서할 수 없습니다. 당장
군대를 보내 쳐야 합니다."
이렇게 이구동성으로 모두 건의했으나, 광무제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오랫동안 전장을 누비며 전투에
임한 장수와 병사들이 얼마나 지쳤는지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뜻 잘 알겠습니다. 그러나 이미 중원은 평정했으니 그들을 안중에 두지 않아도 될 듯하오."
즉 '도외시'하자는 얘기인 것이지요.
광무제는 하루라도 빨리 지친 장수와 병사들을 쉬게 하고 싶었습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우일모 예문 그리고 뜻과 유래 (0) | 2015.09.22 |
---|---|
난형난제 유래와 뜻 (0) | 2015.09.18 |
새옹지마 뜻과 유래 간략 설명 (0) | 2015.09.15 |
조삼모사 뜻과 유래 (0) | 2015.09.08 |
계륵 의미와 유래 (0) | 2015.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