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어속담

조삼모사 뜻과 유래

고두암 2015. 9. 8.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단어 중의 하나인 조삼모사 뜻과 유래를 알아볼까요? 이 단어의 뜻은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말로, 간사한 꾀로 남을 속인다는 의미입니다.

 

한문으로는 朝三暮四로 쓰며, 개발 한자의 풀이는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물 모, 四 : 넉 사'

이며, 조삼모사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원숭이를 좋아해서 집에 여러 마리를 기르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가족이 먹을 양식마저 원숭이에게 먹일 정도로 지극했고, 원숭이 표정만 보고도 원숭이의

마음을 알 경지에 이르러 원숭이들도 저공을 잘 따랐습니다.

 

그렇게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식량은 금방 동이 났고, 그래서 도토리를 먹였는데, 도토리 또한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어쩔수없이 저공은 원숭이 먹이를 줄이기로 했는데, 갑자기 먹이를 줄일 수 없던 저공은

생각에 잠겼습니다.

 

 

깊은 생각 중에 이윽고 생각이 떠올라 원숭이를 불러 모았습니다. "오늘부터 너희한테,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즉, 조삼모사)를  주겠다. 괜찮겠지?"

 

원숭이들은 아침에 도토리를 세 개 먹으면 배고프다며 바로 불평을 터뜨렸습니다. 그래서 저공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알았다, 알았어. 그럼, 이렇게 하자.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이 말을 듣고 원숭이는 모두

기뻐했습니다. 저공의 꽤에 원숭이들이 깜빡 속아 넘어간 것이지요.

 

우리는 살면서 조삼모사 같은 현란한 말이나 속임수에 속지 말아야 합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외시 뜻과 유래는  (0) 2015.09.16
새옹지마 뜻과 유래 간략 설명  (0) 2015.09.15
계륵 의미와 유래  (0) 2015.09.03
중구난방 그 뜻과 유래는  (0) 2015.09.02
중과부적 뜻과 유래  (0) 2015.08.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