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묘호란 원인(배경)과 결과 요약 정리
1627년 1월 13일(인조 5년) 후금의 침입으로 일어난 정묘호란 원인(배경)은 인조반정 이후 광해군의 중립정책 대신 서인들이 노골적으로 명나라와는 친하고 후금은 오랑캐 집단이라고 무시하는 친명배금 정책을 펼쳤기 때문입니다. 정묘호란(1627.1.13일 발생)은 만주에 본거지를 둔 후금의 침입으로 인한 조선과 후금 간의 전쟁으로, 인조가 강화도로 피란을 떠났으며, 3월 3일 맺은 정묘조약으로 후금을 형의 나라로 인정하는 치욕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정묘호란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후금은 조선의 의주, 용천, 선천, 안주, 평양, 황주, 평산을 점령하고, 인조와 신하들은 강화도로 피란을 갔으며, 소현세자는 전주로 피란하였습니다. 후금은 2월 9일 조선 땅 황주에서 부장 유해를 강화도로 보내 ..
한국역사
2015. 12. 17.
-
자궁내막증 증상 치료에 관한 상식 요약 정리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의 복강 내에 존재하게 되는 자궁내막증 증상은 반복적인 만성 골반통증, 월경 시 통증, 성교통, 불임증, 월경 배변통, 하복부 통증 등으로 나타납니다. 자궁내막증은 월경을 하는 여성, 즉 초경부터 폐경까지의 모든 연령대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의 복강 내에 존재하게 되는 것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10~15%에서 발생되는 흔한 질환으로, 재발을 잘하고 계속 진행하는 특성을 보여 치료도 매우 까다롭습니다. 1. 월경혈의 역류 생리혈의 대부분은 질을 통해 배출되지만, 일부는 난관을 통해 역류하여 복강 내로 들어가는데, 이것을 역행성 월경이라고 하며, 대부분의 여성은 복강 내로 유입된 생리혈이 복강 내에서 제거됩니다. 하지만 일부..
건강정보
2015.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