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기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배반낭자는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널려 있다는 말로, 술을 마시며 정신
없이 놀고 난 뒤에 술잔과 접시가 이지럽게 흩어져 있는 난잡한 모습을 뜻합니다.
한문으로는 杯盤狼藉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배(杯 ) : 잔 배, 반(盤) : 쟁반 반, 낭(狼) : 이리 낭, 자
(藉) : 깔 자)>이며, 배반낭자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나라 위왕 때 일입니다. 초나라의 침략을 받은 위왕은 말을 조리있게 잘하는 순우곤을 조나라에 보내서
원군을 요청합니다. 순우곤이 조나라에서 병사 10만 명을 이끌고 제나라로 돌아오자, 이를 본 초나라 군사
는 어쩔 수 없이 철수해야 했습니다.
간신히 전쟁의 위기를 넘긴 위왕은 크게 기뻐했습니다. 그래서 위왕은 순우곤을 위해 잔치를 열었는데, 이
자리에서 위왕이 순우곤에게 물었습니다.
"그대는 얼마나 마셔야 취하는가?"
"한 되를 마셔도 취하고, 한 말을 마셔도 취하나이다."
"한 되를 마셔도 취하는 사람이 어찌 한 말을 마신단 말인가?"
"네, 분위기에 따라 주량이 다르다는 말입니다. 벼슬이 높은 사람과 같이 마시면 두려워 한 되도 못 마셔
취하고, 친척 어른들과 마신다면 자주 일어나 술을 따라야 하므로 두 되도 못 마셔 취합니다.
그러나 옛날 친구를 오랜만에 만나면 반가운 마음으로 마시니 대여섯 되쯤 마시고, 남녀가 어울려 놀이를
하며 마신다면 여덟 되쯤 마셔야 취기가 돕니다.
그리고 해가 진 뒤 남녀가 무릎을 맞대고 앉자 술잔과 접시가 어지럽게 흩어질 정도로 마신다면 한 말이라
도 마실 수 있사옵니다."
이렇게 말하고 나서, 순우곤은 주색을 좋아하는 위왕에게 간했습니다.
"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퍼지는데, 모든 일이 그와 같사옵니다."
이후 위왕이 술을 마실 때는 반드시 순우곤과 함께 마셨다고 합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주구검 유래와 뜻 (0) | 2015.12.28 |
---|---|
분서갱유 유래와 뜻 (0) | 2015.12.20 |
기인지우 쓸데없는 걱정 (0) | 2015.12.15 |
조령모개 유래 알고 뜻 이해하기 (0) | 2015.12.12 |
일거양득 고사성어 뜻 유래 공부하기 (0) | 2015.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