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열자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기인지우는 기나라 사람의 걱정이란 말로, 쓸데없는 걱정을 의미합니다.
즉, 불필요한 군걱정이나 헛걱정을 뜻하는 것입니다. 예문으로는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대학에 떨어질
까 고민하는 것은 기인지우에 지나지 않아!" 를 들 수 있습니다.
기인지우 한문은 杞人之優이며, 개별 한자의 뜻은 '<기(杞) : 나라이름 기, 인(人) : 사람 인, 지(之) : 갈
지, 우(優) : 근심 우>입니다.
그럼 어떻게 이런 고사성어가 유래되었을까요? 기인지우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나라에 쓸데없이 걱정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만약 하늘이 무너지거나 땅이 꺼진다면 우리 몸은 어디에 둬야지?"
그는 이런 걱정을 하느라 잠도 못 자고 음식도 제대로 못 먹었습니다.
보다 못한 친구가 그에게 말했습니다.
"하늘은 기가 쌓인 곳으로 기가 없는 곳이 없다네. 우리가 몸을 굽히거나 펴고, 숨을 쉬는 것도 모두 '기'
때문이라네. 그런데 왜 하늘이 무너져 내린다는 말인가?"
"기가 쌓인 것이 하늘이라면, 해와 달과 별이 떨어질 게 아닌가?"
"해와 달과 별도 역시 기 안에서 빛나고 있다네. 설사 떨어진다고 해도 다칠 염려는 없네!"
"그럼, 땅이 꺼지는 일도 없을까?"
"땅에는 흙이 있을 뿐이라네. 흙이 없는 땅은 없다네. 우리가 매일 이렇게 땅 위에서 뛰고 구르고 있잖은가.
그런데 왜 땅이 꺼진단 말인가? 이젠 쓸데없는 걱정은 하지 말게!"
그제야 그는 마음을 놓았습니다.
기나라에 사는 사람이 쓸데없는 걱정을 한다고 해서 '기인지우 즉, 기나라 사람의 쓸데없는 걱정'이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난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도 기인지우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고민이 고민을 만듭니다. 불필요한 걱정보단
긍정적인 마음으로 밝게 생활하시기 바랍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서갱유 유래와 뜻 (0) | 2015.12.20 |
---|---|
배반낭자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난잡한 모습 (0) | 2015.12.18 |
조령모개 유래 알고 뜻 이해하기 (0) | 2015.12.12 |
일거양득 고사성어 뜻 유래 공부하기 (0) | 2015.12.11 |
건곤일척 뜻과 유래 알아볼까요 (0) | 2015.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