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기(史記)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분서갱유 유래는 진시황제로부터 비롯되었는데, 분서갱유 뜻은
책을 불사르고 선비를 묻는다는 말로, 책을 불사르고 선비를 파묻어 죽이는 가혹하고 혹독한 정치를
의미합니다.
한문으로는 焚書坑儒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분(焚) : 불사를 분, 서(書) : 글 서, 갱(坑) : 묻을 갱,
유(儒) : 선비 유>입니다. 분서갱유처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라는 말로 '가정맹어호'
라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분서갱유의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진나라 시황제는 마지막으로 제나라를 평정하고 전국 시대도 끝났습니다.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제는
주나라 때 실시한 봉건제도를 폐지하고 강력한 중앙집권제도인 군현제도를 실시했습니다.
군현제도를 실시한 지 8년이 되는 어느 날, 진시황제가 함양궁에서 잔치를 열었는데, 이 자리에서
'순우월'이 군현제도에 대해 비판했습니다.
"지금 실시하는 군현제도로는 안정된 황실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니 봉건제도로 돌아가야 하옵니다."
진시황제가 순우월의 의견에 대해 신하에게 묻자, 군현제도 기틀을 마련하고 시행한 숭상 이사가 대답
했습니다.
"봉건제도를 시행했을 땐 각 제후가 싸워 조용할 날이 하루도 없었습니다. 그러나 천하를 통일한 지금
은 법이 중앙 한 곳에서 나와 점차 안정되고 있사옵니다.
옛날 책으로 배운 사람은 새로운 법이나 정책을 비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 그런 선비를 엄하
게 다스리고, 또 백성에게 꼭 필요한 의학, 점복, 농업에 관한 책과 역사서만 남기고 모두 불태워야
하옵니다."
그때는 종이가 없어서 글씨를 대나무 조각을 엮어서 만든 죽간에 썼는데, 진시황제는 관청에 있는 이
책을 모두 불태웠습니다. 이 일을 바로 분서라고 합니다.
아방궁이 완성되자 진시황제는 불로장생을 위해 신선의 술법을 닦는 방사를 불러 모았습니다. 진시황제
는 그 중에서도 노생과 후생을 신임했는데, 그 둘은 많은 재물을 빼돌리고, 또 진시황제를 비난하고는
몸을 숨겨 버렸습니다.
그래서 진시황제가 분노하고 있는데, 또 진시황제를 비방하는 선비가 있다는 보고가 들어왔습니다. 화가
머리끝까지 난 진시황제는 철저히 조사해 자기를 욕한 선비 460여 명을 모두 산 채로 구덩이에 파묻어
죽였습니다. 이 일을 '갱유'라고 합니다.
위의 두 사건에서 '분서갱유'라는 단어가 생겨난 것입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반식재상 어떤 뜻일까 (0) | 2016.01.08 |
---|---|
각주구검 유래와 뜻 (0) | 2015.12.28 |
배반낭자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난잡한 모습 (0) | 2015.12.18 |
기인지우 쓸데없는 걱정 (0) | 2015.12.15 |
조령모개 유래 알고 뜻 이해하기 (0) | 2015.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