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기(史記)에 전해오는 관포지교 유래는 친구 사이의 우정을 잘 표현하고 있는데, 관포지교뜻과 더불어
관포지교 활용 문장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관포지교 뜻은 관중과 포숙아 사이와 같은 우정이라는 말로, 시대의 흐름을 떠나 친구를 위해 베푸는 두터운
우정을 의미하며, "우리의 우정은 관포지교라고 할 수 있지!, 그들은 관포지교와 같은 우정을 지닌 사이야."
등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문으로는 관포지교(管鮑之交)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관(管 : 대롱 관), 포(鮑 : 절인 고기 포), 지(之 :
갈 지), 교(交 : 사귈 교)입니다.
관포지교의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아라는 두 친구가 있었는데, 이들은 둘도 없는 친구 사이였습니다. 관리가 되면서 관중
은 규를 보좌했고, 포숙아는 규의 이복동생인 소백을 섬겼습니다. 그런데 공손무지가 사촌 형 양공을 죽이자
관중은 규를 모시고 노나라로, 포숙아는 소백을 모시고 거나라로 달아났습니다.
그러나 이듬해 공손무지가 살해되자 상황은 급변하기 시작했습니다. 임금 자리 때문에 규와 소백은 앞다투어
귀국을 서둘렀고, 관중과 포숙아도 본의 아니게 적이 되었습니다.
관중은 소백을 암살하려 했으나 소백이 먼저 귀국해 환공이라 일컬으며 임금 자리에 올랐습니다. 그리고는
노나라에 있는 규를 죽이고 관중을 압송하라고 했습니다. 환공이 압송된 관중을 죽이려하자 포숙아는 이렇게
진언했습니다.
"전하, 제나라 한 나라만 다스린다면 신 하나로도 충분할 것이옵니다. 하지만 천하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관중
을 기용해야 합니다." 마음이 넓고 식견이 뛰어난 환공은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대부로 중용하고
정사를 맡겼습니다.
재상이 된 관중은 대정치가답게 수완을 유감없이 발휘했습니다.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안다." "옷과 음식
이 풍족해야 영예와 치욕을 안다." 이와 같은 유명한 정치철학으로 관중은 국민경제 안정에 온 힘을 기울였고,
관중 덕분에 환공은 첫 패자(제후 중의 실력자)가 되었습니다.
이런 성공은 환공의 관용과 관중의 재능이 조화롭게 잘 어우러졌기 때문이지만, 그 출발점은 관중에 대한
포숙아의 변함없는 우정이었습니다. 즉, 관포지교가 이루어 낸 성과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훗날 관중은 포숙아에게 감사한 마음을 이렇게 전했습니다.
"내가 포숙아와 함께 장사할 때 늘 이익금을 내가 더 많이 차지했으나, 그는 나를 옥심쟁이라 말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하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그를 위해 한 사업이 실패해 그를 궁지에 빠뜨린 적이 있었지만, 나를 졸렬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일에는
성공과 실패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또 벼슬길에 나갔다가는 물러나곤 했지만, 나를 무능하다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 운이 따르지 않았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디 그뿐인가. 내가 싸움터에서 도망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지만, 나를 겁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게
노모가 계시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무튼, 나를 낳아준 분은 부모지만,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
이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란지위 뜻 유래 알아보기 (0) | 2015.12.04 |
---|---|
오월동주 유래와 뜻 한자 예문 등에 관한 상식 (0) | 2015.11.30 |
홍일점의 유래와 뜻 (0) | 2015.11.24 |
양약고구 충언역이 뜻과 유래 (3) | 2015.11.23 |
미봉책 뜻과 유래 (0) | 2015.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