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기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누란지위 뜻은 알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험한 형세를 의미하는 말로
한문으로는 累卵之危로 표기하며, 개별한자의 뜻은 '누(屢 : 여러 누), 란(卵 : 알 란), 지(之 : 갈 지),
위(危 : 위태할 위)입니다.
누란지위 예문을 들면 '우리 회사는 자금 난으로 지금 누란지위에 놓여있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누란지위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세 치 혀 하나로 제후를 찾아 유세하는 객을 책사나 모사라고 불렀고, 여러 나라를 종횡으로 합치려고
계획한 책사나 모사를 종횡가라고 불렀습니다.
위나라에서 가난한 집 아들로 태어난 범수도 종횡가를 꿈꾸는 사람이었으나 이름도 없는 그에게 기회
는 쉽사리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범수는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중대부 수가를 보필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제나라에서 수가
보다 범수 인기가 더 좋았습니다. 기분이 몹시 상한 수가는 위나라로 돌아오자마자 범수가 제나라와
내통하고 있다고 수상에게 고했습니다.
범수는 모진 고문을 당하고 옥에 갇히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범수는 실망하지 않고 옥졸을 설득해서
탈옥에 성공했습니다. 그리고는 바로 후원자인 정안평 집으로 달려가 이름을 장록으로 바꾸었습니다.
그곳에서 망명할 기회만 노리고 있던 참에 진나라에서 사신이 왔습니다. 정안평은 진나라 사신 숙소
로 은밀히 찾아가 장록을 추천했습니다.
어렵게 장록을 진나라에 데려온 사신은 소양왕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번에 위나라에서 모셔 온 장록 선생은 천하에서 제일가는 외교가입니다. 선생은 진나라의 정치를
알을 쌓아 놓은 것처럼 위태롭다고 말했습니다. 선생은 진나라를 태평하고, 또 백성을 편안하게 할
거라고 자신있게 말했습니다."
소양왕은 범수를 내치고 싶었지만 뚜렷한 인재가 없어서 그를 말석에 앉혔습니다. 나중에 범수는 먼
나라와 화친하고, 가까운 나라부터 친다는 정책으로 그의 진가를 유감없이 발휘했습니다.
누란지교라는 말은 진나라 사신이 자신의 왕인 소양왕에게 범수를 중용하게 하려고 한 말인 것입니다.
상식을 좀 더해볼까요?
'종횡'이란 세로와 가로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며, '보필'이란 윗사람의 일을 돕는 다는 뜻이며, '망명'
이란 죽을 죄를 지은 사람이 몸을 숨겨 멀리 도망함을 뜻하는 말이고, '말석'이란 좌석의 차례에서 맨
끝자리를 이르는 말입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곤일척 뜻과 유래 알아볼까요 (0) | 2015.12.07 |
---|---|
진충보국 멸사봉공 어떤 뜻인가 (0) | 2015.12.04 |
오월동주 유래와 뜻 한자 예문 등에 관한 상식 (0) | 2015.11.30 |
관포지교 유래와 뜻 활용 문장 알아보기 (0) | 2015.11.30 |
홍일점의 유래와 뜻 (0) | 2015.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