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정말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백문이불여일견이라는 고사성어는 너무 친근해서 그 뜻을 모르는
분들이 아마 없을 겁니다. 백문이불여일견 뜻을 한문을 직역하면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보다
못하다는 말인데, 무엇이든 경험해야 확실히 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한문으로는 百聞이 不如一見이라고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百 : 일백 백, 聞 ; 들을 문, 不 : 아닐 부,
如 : 같을 여, 一 : 한 일, 見 : 볼 견'입니다.
백문이불여일견 유래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한 9대 황제인 선제 때, 서북 변방에 사는 티베트계 유목 민족인 강족이 쳐들어왔습니다. 한나라
군사는 필사적으로 싸웠으나 크게 패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선제는 어사대부 병길에게 조충국을
찾아가 토벌군 장수로 누가 가장 적임자인가를 물어보라고 했습니다.
조충국은 나이가 70이 넘은 늙은 장수였습니다. 그는 7대 황제인 무제 때 이광리의 휘하 장수로 흉노
족을 토벌하러 갔다가 포위당했으나, 불과 군사 100여명으로 용감하게 싸워 포위망을 뚫고 탈출한
적이 있습니다.
그 공으로 거기 장군에 임명된 그는 이때부터 오랑캐를 토벌하는 선봉장이 되었습니다. 조충국을
찾아간 병길은 황제의 뜻을 전했습니다.
"강족을 치려고 하는데 누가 가장 적임자인지를 장군에게 물어보라는 어명을 받고 왔소이다."
조충국은 기다렸다는 듯이 대답했습니다.
"비록 늙었지만 나보다 나은 사람이 있겠습니까?"
선제는 병길의 보고를 받고 조충국을 불렀습니다.
"강족을 토벌하는 좋은 계책이 있소? 또 군사는 얼마면 되겠소?"
조충국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전하,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합니다. 싸움이란 현지를 직접 보지 않고는 가늠하기 어려
운 법이니, 신을 금성군으로 보내 주소서. 현지를 살펴본 다음에 계책을 아뢰겠나이다."
즉, 百聞이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을 얘기한 것이지요.
선제는 그렇게 하라고 허락했습니다. 현지를 조사하고 돌아온 조충국은 평소에는 농사일을 하고,
전시에 싸울 수 있는 군사 약 만 명을 현지에 배치하자고 건의했습니다.
이 계책으로 말미암아 강족의 침략이 수그러들었습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지교 유래와 뜻 (0) | 2015.10.21 |
---|---|
기호지세 예문 유래 한자 뜻 등에 관한 상식 (0) | 2015.10.11 |
백면서생 유래와 뜻 (0) | 2015.10.03 |
양상군자란 도둑을 좋은 말로 표현한 것인데 그 어원은 (0) | 2015.10.01 |
이란격석 계란으로 바위치기 유래 (0) | 2015.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