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암 발생과 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건강보험공단 암검진에 대한
내용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건강보험공단 암검진에 대한 상식을 요약 정리
해 보았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암검진은 국내 발병률이 높고 조기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5대암(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암검사 사업은 건강보험 대상자 중 부과보험료
기준에 해당하는 자와 의료급여수급권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출생년도(홀수,
짝수)에 따라 암의 종류별 연령 및 검진주기에 해당하는 자에게 실시합니다.
암의 종류별 연령 및 검진주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위암은 만 40세 이상이며 2년 주기(2015년 홀수 대상)로 하며, 간암은 만 40세 이상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1년 주기로 하고 있습니다.
대장암은 만 50세 이상이며 1년 주기로 실시하고, 유방암은 만 40세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2년 주기(2015년 홀수 대상)로 하며, 자궁경부암은 만30세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2년 주기(2015년 홀수 대상)로 실시합니다.
단, 자궁경부암의 경우 의료급여수급자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부터 실시합니다.
검진비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90%를, 수검자가 10%를 부담하며, 의료급여수급
자인 경우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각각 전액을 분담 부담하며, 자궁경부암은
공단에서 전액 부담합니다.
참고로 본인 부담금 10%의 경우도 건강보험가입자 중 암검진 지원 혜택 대상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각각 부담하므로 본인은 사실상 부담하지 않습니다.
암검진비 지원 혜택 대상자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 암검진을 통해 암을 확진
받은 경우는 관할 보건소에 '암환자 의료비 지원'을 신청하실 수 있으며, 지원 대상
자가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암 의료비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암 치료율을 높일 수 있도록 건강보험공단의 암검진 사업을
적극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근무시간 근로기준은 어떠한가 (0) | 2015.04.05 |
---|---|
연차휴가수당과 연차발생기준에 관한 상식 (0) | 2015.04.02 |
리셋증후군이란 컴퓨터로 인한 사회적 병리현상 (0) | 2015.03.20 |
자황고구마 효능 이젠 구황작물보단 건강식재료로 쓰여 (0) | 2015.03.12 |
성범죄란 인권을 침해하는 사회의 악 (0) | 2015.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