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한공기 칼로리 쌀밥 흑미밥 콩밥 칼로리 상식 사람들은 한끼에 주로 밥 한공기를 먹는데요, 밥한공기 양은 약 210g에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밥한공기 칼로리는 얼마나 될까요? 밥한공기 칼로리, 쌀밥 칼로리, 흑미밥 칼로리, 콩밥 칼로리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① 쌀밥 칼로리쌀밥 한공기(210g)의 열량은 313kcal입니다. 쌀밥 한공기에는 1mg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고 식이섬유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습니다. ② 현미밥 칼로리현미밥 한공기(210g)의 열량은 368kcal로써 쌀밥 한공기의 칼로리보다 훨씬 더 높습니다. 현미밥 한공기에는 2mg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고 3g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칼로리는 쌀밥보다 높지만 장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③ 콩밥 칼로리 콩밥 한공기(210g)의 열량은 316kcal로써 쌀밥.. 생활상식 2025. 1. 30. 남편의 사촌형 호칭 참고하세요 친족간의 호칭 때문에 고민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남편의 사촌형은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남편의 사촌형 호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남편의 사촌형을 부르는 호칭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아주버님이라고 부릅니다. 아주버님은 남편의 형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지만, 남편의 사촌형을 부를 때도 사용됩니다. 아주버님은 '아주버니'의 높임말로 남편과 항렬이 같은 사람 가운데 남편보다 나이가 많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입니다. 따라서 남편의 형도 아주버님으로 호칭하고 남편의 사촌형도 아주버님으로 호칭하면 됩니다. 호칭은 가족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므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호칭을 사용해야 합니다. 남편의 사촌형은 남편과 4촌지간이 됩니다. 따라서 본인과는 인척 4촌지간이.. 생활상식 2024. 10. 21. 누나 딸 호칭 참고하세요 누나의 딸은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누나의 딸 호칭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누나의 딸을 가르키는 말은 '조카' 또는 '질녀'입니다. 따라서 남에게 누나의 딸을 가르킬 때는 '조카' 또는 '질녀'라고 지칭하면 되고, 본인이 누나의 딸을 직접 부를 때는 그냥 누나의 딸 이름을 부르면 됩니다. ① 누나의 딸을 남에게 가르킬 때.'조카' 또는 '질녀'라고 지칭하면 됩니다. (조카딸이라고 지칭해도 무방함) ② 누나의 딸을 본인이 직접 부를 때.그냥 누나의 딸 이름을 부르면 됩니다. (예 : 영숙아! 상희야!, 영자야!)'조카'는 형제자매의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며, '질녀'와 '조카딸'은 형제자매의 딸만 이르는 말입니다. (예) 누나가 딸을 낳아 질녀가 생겼다.(예) 저 꼬마는 누나의 딸로 .. 생활상식 2024. 9. 3. 손자며느리 호칭 할머니가 손자며느리 부르는 호칭 할머니가 손자며느리를 부르는 호칭은 무엇일까요? 손자며느리 호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할머니가 손자며느리를 남에게 가리킬 때는 '손부'라고 지칭해야 하며, 직접 부를 때는 '아가 또는 새아가'라고 호칭해야 합니다. ① 손부(孫婦)손자의 아내를 뜻하는 말. (시조부모나 타인이 손녀며느리에 대한 지칭어로 사용)(예) 할머니는 손부 자랑에 신이 났다.(예) 이 댁의 손부는 정말로 참하네요.(예) 우리 손부는 효심이 정말 깊어요. ② 아가시부모가 젊은 며느리를 정답게 부르는 말. (시조부모나 시부모가 손녀며느리나 며느리에 대한 호칭어로 사용)(예) 아가! 나 좀 보자.(예) 아가! 병원에 같이 가자.(예) 아가! 친정에 다녀 오거라. ③ 새아가시부모가 새 며느리를 정답게 부르는 말. (시조부모나 시부모가.. 생활상식 2024. 3. 11. 아내 남동생 호칭 아내의 남동생은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아내 남동생 호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나이와 관계없이 '처남'이라고 부르면 됩니다. 처남(妻男)은 아내의 남자 형제를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인데요, 아내의 오빠라면 손위 처남이 되고 아내의 남동생이라면 손아래 처남이 됩니다. 따라서 아내의 남동생의 경우에는 나이와 관계없이 '처남'이라고 부르면 됩니다. ※ 다만, 아내의 남동생이 본인보다 연상이거나 동갑이라면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처남(妻男) ① 아내의 손아래 남자 형제를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 ② 자기보다 나이가 적은 아내의 손위 남자 형제를 가리키는 말. 아내의 오빠가 본인보다 연상이라면 '형님'이라고 부르며, 본인과 동갑이거나 본인보다 연하라면 '처남'이라고 부릅니다. 아.. 생활상식 2023. 10. 25. 십리는 몇킬로 백리는 몇킬로 '십리도 못 가서 별병 난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십리는 몇킬로일까요? '십리는 몇킬로'인지와 '백리는 몇킬로'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십 리(十里)는 약 4킬로미터(km)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십리는 3.927273킬로미터(km)입니다. ① 십 리(十里) 약 4킬로미터(km). 정확한 거리는 3.927273키로미터(km) ② 오 리(五里) 약 2킬로미터(km). 정확한 거리는 1.963636킬로미터(km) ※ 리(里)는 우리나라에서 거리의 단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1리는 약 0.393킬로미터) (예문) 집에서 학교까지는 십 리쯤 됩니다.(예문) 집에서 병원까지는 오 리쯤 됩니다.(예문) 오늘은 운동 삼아 십 리를 걸었다.(예문) 부모님의 집은 약 오 리 정도 떨어져 있다. 백 리(百.. 생활상식 2023. 7. 28. 소고기 안심 100g칼로리 소고기 부채살 칼로리 소고기 갈비살 살치살 우둔살 칼로리 소고기는 각 부위별로 칼로리가 다른데요, 소고기 안심 100g칼로리, 소고기 부채살 칼로리, 소고기 갈비살 칼로리, 소고기 살치살 칼로리, 소고기 우둔살 칼로리 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소고기 안심 100g의 칼로리는 148Kca입니다. 안심은 갈비뼈 안쪽에 위치한 살로 소고기 중에서 가장 연하며 지방도 적어 담백합니다. 주로 구이나 스테이크, 장조림 등으로 활용됩니다. ② 소고기 부채살 100g의 칼로리는 192Kcal입니다. 부채살은 꾸리살 밑 부위로 육질이 단단하고 쫄깃하며 맛이 담백합니다. 주로 구이나 스테이크, 불고기 등으로 사용됩니다. ③ 소고기 앞다리살 100g의 칼로리는193Kcal입니다. 앞다리살은 고기의 결은 고우나 부분적으로 질긴 편입니다. 주로 국거리나 육회, 장조림,.. 생활상식 2023. 6. 29. 이전 1 2 3 4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