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작 사자성어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새로운 시작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개과자신(改過自新)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 착하게 됨. 2. 개과천선(改過遷善)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 착하게 됨. 3. 거악생신(去惡生新) 종기의 굳은살을 없애고 새살을 나오게 함. 4. 개신창래(開新創來) 새로운 길을 열어 더 나은 미래를 만듬. 5. 동산재기(東山再起) 은퇴한 사람이나 실패한 사람이 재기하여 다시 세상에 나옴. 6. 면목일신(面目一新) 모양이 아주 새롭게 됨. 7. 법고창신(法古創新)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함. 8. 사구종신(舍舊從新) 묵은 것을 버리고 새 것을 따름. 9. 서정쇄신(庶政刷新) 여러 가지 정치상의 폐단을 말끔히 없애고 새롭게.. 성어속담 2022. 8. 11. 겉과 속이 같다는 사자성어 겉과 속이 같다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겉과 속이 같다는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표리일체(表裏一體) 겉과 속이 한 덩어리가 됨. 2. 표리상응(表裏相應) 겉과 속이 서로 상응함. 3. 표리여일(表裏如一) 생각과 언행이 완전히 일치함. 4. 언행일치(言行一致) 말과 그에 따른 행동이 같음. 5. 지행일치(知行一致) 지식과 행동이 한결같이 서로 맞음. 6. 지행합일(知行合一) 지식과 행동이 한결같이 서로 맞음. 7. 명실공히(名實共-) 알려진 내용과 실제의 내용이 똑같게. 1. 표리불일(表裏不一) 마음이 음흉하여 겉과 속이 다름. 2. 표리부동(表裏不同) 마음이 음흉하여 겉과 속이 다름. 3. 구밀복검(口蜜腹劍) 말로는 친한 체하나 속으로는 미워하거나 해칠 생각.. 성어속담 2022. 8. 7. 좋은 일만 가득하길 사자성어 '좋은 일만 가득하길'이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좋은 일만 가득하길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만사형통(萬事亨通) 모든 일이 뜻대로 잘 풀림. (예) 만사형통하시기를 바랍니다. (예) 만사형통하세요.(예) 하시는 일이 만사형통하시길 바랍니다. 2. 만사대길(萬事大吉) 모든 일이 다 순조롭게 잘 풀림. (예) 만사대길하세요.(예) 만사대길하시길 바랍니다. (예) 만사대길을 기원드립니다. 3. 만사대통(萬事大通) 모든 일이 크게 트여 이루어짐. (예) 만사대통하세요. (예) 만사대통하시길 바랍니다. (예) 만사대통을 기원합니다. 4. 운수대통(運數大通)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천운과 기수가 크게 트여 이루어짐. (예) 운수대통하세요.(예) 운수대통하시길 바랍.. 성어속담 2022. 8. 3. 인생만사 새옹지마 뜻 '인생만사 새옹지마'라는 말이 있는데요, 인생만사 새옹지마는 어떤 뜻일까요? 인생만사 새옹지마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에 겪는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에 겪는 길흉화복에 대해 두려워하거나 슬퍼하지 말고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① 인생만사(人生萬事)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가지 일. ② 새옹지마(塞翁之馬)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하기 어려움. ③ 인생만사(人生萬事) 새옹지마(塞翁之馬) 사람이 살아가는 동안에 겪는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 예측할 수 없다는 뜻. (예) 인생만사는 새옹지마이다. (예) 인생만사 새옹지마이구나.(예) 인생만사 새옹지마라고 좋은 날도 오겠지. *새옹(塞翁)이란 말은 국.. 성어속담 2022. 7. 24. 뇌화부동 뜻 사자성어 '뇌화부동'은 어떤 뜻일까요? 뇌화부동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뇌화부동'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부화뇌동'입니다. - 뇌화부동 (X)- 부화뇌동 (O) 부화뇌동(附和雷同)은 '아무런 주관이 없이 남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좇아 함께 어울림'을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예) 함부로 부화뇌동하지 마라.(예) 그들은 갑자기 서로 부화뇌동하였다.(예) 그는 쉽게 부화뇌동하는 사람이다.(예) 군자는 남과 화목하게 지내되 결코 남과 부화뇌동하지 않는다. 1. 뇌동부화(雷同附和) 아무런 주관이 없이 남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좇아 함께 어울림. 2. 부화수행(附和隨行) 아무런 주관이 없이 남의 의견을 맹목적으로 좇아 함께 어울림. 3. 수중축대(隨衆逐隊) 무리를 따르고 대열.. 성어속담 2022. 6. 16.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비슷한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와 의미가 비슷한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일이 잘못된 뒤에는 후회하고 손을 써 보아야 아무 소용이 없다는 뜻. 1. 도둑 맞고 사립문 고친다. 일이 이미 잘못된 후에는 손을 써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뜻. 2. 말 읽고 마굿간 고친다. 일이 이미 잘못된 후에는 손을 써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뜻. 3. 양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 이미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 4.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 적은 힘을 들여서 해결할 수 있는 일의 기회를 놓쳐 큰 힘을 들이게 됨을 이르는 말. 5. 닭 잡아 겪을 나그네 소 잡아 겪는다. 작은 닭 한 마리를 잡아서 대접했으면 .. 성어속담 2022. 6. 7. 쓰면 뱉고 달면 삼킨다 사자성어 쓰면 뱉고 달면 삼킨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쓰면 뱉고 달면 삼킨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감탄고토(甘呑苦吐)'입니다. 감탄고토(甘呑苦吐)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말로, 옳고 그름에 관계없이 자기 비위에 맞으면 좋아하고 그렇지 않으면 싫어한다는 뜻입니다. '감탄고토'는 신의와 진실보다는 눈앞에 있는 자신의 이익만 더 따지는 행동을 비꼬는 말로 주로 사용합니다. '감탄고토'하는 사람은 옳고 그름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비위에 맞거나 이익이 되면 좋아하고, 자신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면 아무리 옳은 경우도 싫어하고 외면하며 자신에게 도움되는 쪽을 택하게 됩니다. 한마디로 의리와 진실이 없는 것이지요. 1. 득어망전(得魚忘筌)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성어속담 2022. 6. 5. 이전 1 ··· 4 5 6 7 8 9 10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