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마리 토끼를 잡다 사자성어 '두마리 토끼를 잡다'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두마리 토끼를 잡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두마리 토끼를 잡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일석이조(一石二鳥) 돌멩이 하나를 던져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말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의 이익을 얻는다는 뜻. 2. 일거양득(一擧兩得) 한 가지 일을 해서 두 가지 이익을 봄. 3. 일거이득(一擧二得)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얻음. 4. 일전쌍조(一箭雙鵰) 화살 하나로 수리 두 마리를 떨어뜨린다는 말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음을 뜻함. 1. 꿩먹고 알먹고.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한꺼번에 얻는다는 뜻. 2. 도랑치고 가재잡고.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한꺼번에 얻는다는 뜻. 3. 임도.. 성어속담 2022. 11. 30.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한자성어 똥 묻는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한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기는 더 큰 흉이 있으면서 도리어 남의 작은 흉을 본다는 뜻. 1. 노아소저흑(老鴉笑猪黑) 늙은 까마귀 검은 돼지보고 웃는다. 2. 문과식비(文過飾非)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꾸민다는 말로, 잘못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뉘우침도 없이 숨길 뿐 아니라 도리어 외면하고 도리어 잘난 체함. 3.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는 뜻. 4. 아가사창(我歌査唱) 내가 부를 노래를 사돈이 부른다는 말로, 책망을 들을 사람이 도리어 큰소리를 친다는 뜻. 5. 이단공단(以短功短) 자기의 결점을 생각하지 않고 남의 잘못을 비난한다는 뜻. 6. 적반하.. 성어속담 2022. 11. 8. 말을 아끼자 사자성어 말을 아낀다는 사자성어 말을 아끼자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 즉, 말을 아낀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말을 아끼자 사자성어 (말을 아낀다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과언무환(寡言無患) 말이 적으면 근심이 없다는 뜻. 2. 구화지문(口禍之門) 화는 입으로부터 생기므로 말을 삼가야 한다는 뜻. 3. 구시화문(口是禍門) 입은 화를 불러들이는 문이다는 말로, 말을 잘못하면 재앙이 들어온다는 뜻. 4. 다언삭궁(多言數窮) 말이 많으면 자주 궁지에 몰린다는 뜻. 5. 사불급설(駟不及舌) 아무리 빠른 사마라도 혀를 놀려 하는 말을 따르지 못한다는 말로,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므로 말을 조심해야 한다는 뜻. 6. 설참신도(舌斬身刀) 혀는 몸을 베는 칼이라는 말로, 말을 삼가야 한다는뜻. 7... 성어속담 2022. 11. 6. 스승과 제자 사자성어 스승과 제자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스승과 제자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학상장(敎學相長)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스승과 제자가 함께 성장함. 2. 동문수학(同門受學) 한 스승 밑에서 함께 공부함. 3. 동문동학(同門同學) 한 스승 밑에서 함께 공부함. 4. 동문수업(同門受業) 한 스승 밑에서 함께 공부함. 5. 사제동행(師弟同行) 스승과 제자가 함께 길을 감. 6. 사자상승(師資相承) 스승이 제자에게 학예를 이어 전함. 7. 속수지례(束脩之禮) 제자가 되려고 스승을 처음 뵐 때에 가지고 가던 예물. 8. 면허개전(免許皆傳) 스승이 예술이나 무술의 깊은 뜻을 모두 제자에게 전해 줌. 9. 동문위봉(同門爲朋)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한 벗. 10. 사제.. 성어속담 2022. 11. 4. 말로사람을 죽인다는 사자성어 말로 사람을 죽인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말로사람을 죽인다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말로 사람을 죽인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촌철살인'입니다. 촌철살인(寸鐵殺人)은 조그만 쇠붙이로 사람을 죽인다는 말로, 간단한 말로도 사람을 감동시키거나, 약점을 찌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말 한마디로 핵심을 짚어 사람을 감동시키거나 사람을 곤경에 빠뜨린다는 뜻입니다. ※ 촌철살인(寸鐵殺人) 작은 쇠붙이로 사람을 죽인다는 말로, 간단한 말 한마디로도 사람을 감동시키거나 사람의 약점을 찔러 곤경에 빠뜨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예) 그의 촌철살인의 말솜씨는 정말 놀랍다. (예) 해학과 유머에는 촌철살인의 비수가 숨어 있다. (예) 촌철살인의 화법으로 많은 이야기를 해 온 그.. 성어속담 2022. 10. 31. 효와 관련된 사자성어 효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효와 관련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구로지감(劬勞之感) 자기를 낳아 기르려고 애쓴 어버이의 은덕을 생각하는 마음. 2. 노래지희(老萊之戱) 70세에 어린이의 옷을 입고 어린아이 장난을 하여 늙은 부모를 위로함. 3. 동온하정 (冬溫夏凊)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말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뜻함. 4. 득친순친(得親順親) 부모의 뜻에 들고 부모의 뜻에 순종함. 5. 망운지정(望雲之情)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마음. 6. 반포보은(反哺報恩)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한다는 말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뜻함. 7. 반포지효.. 성어속담 2022. 10. 5. 예쁜 사자성어 뜻이 예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예쁜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경국지색(傾國之色)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2. 극기복례(克己復禮) 욕심을 버리고 사람이 본래 지녀야 할 예의와 법도를 따름. 3. 개과천선(改過遷善)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 착하게 됨. 4. 견리사의(見利思義) 눈앞의 이익을 보면 먼저 의리를 생각함. 5. 다정다감(多情多感) 정이 많고 감성이 풍부함. 6. 다정불심(多情佛心) 다정다감하며 자비롭고 착한 마음. 7. 만화방창(萬化方暢) 따뜻한 봄이 되어 온갖 생물이 나서 자람. 8. 명경지수(明鏡止水)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처럼 잡념과 허욕이 없는 깨끗한 마음. 9. 망운지정(望雲之情)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부모를 그리워하는 .. 성어속담 2022. 9. 10. 이전 1 ··· 3 4 5 6 7 8 9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