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에 콩난다 뜻 가뭄에 콩나듯 한다를고사성어로는 가뭄에 콩난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가뭄에 콩난다는 속담의 뜻과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가 오지않아 가물었을 때 콩 싹이 드문드문 나는 것처럼, 어떤 일이 드물게 발생하거나, 어떤 물건이 어쩌다 하나씩 드문드문 있다는 뜻. 가뭄에 콩나듯 한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는 '한시태출'입니다. - 한시태출(旱時太出) 가뭄에 콩 나듯 한다라는 말로, 일이 드물게 발생하거나, 물건이 어쩌다 드문드문 있다는 뜻. '가뭄에 콩나듯 한다'와 '가물에 콩나듯 한다'는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닌 속담입니다. 원래는 '가물에 콩나듯 한다'였지만, 사람들이 '가물에 콩나듯 한다'로 많이 쓰면서 둘 다 복수표준어로 인정되었기 때문입니다. - 가물 오랫동안 계속 비가 내리지 않아 메마른 날씨. - 가뭄 오랫동안 .. 성어속담 2021. 10. 5. 초록은 동색이다 뜻 및 사자성어 '초록은 동색이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초록은 동색이다 뜻 및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말로,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끼리 함께 하거나 같은 편이 됨을 뜻함. (예) 초록은 동색이라고 같은 학년이라도 한 마을에 사는 아이들끼리만 친하게 지낸다. (예) 초록은 동색이라고 생활이 어려운 아이들끼리 똘똘 뭉쳐 힘든 나날을 극복해 나간다. '초록은 동색이다'는 속담과 의미가 같은 사자성어는 초록동색(草綠同色))입니다. 초록동색(草綠同色)은 풀색과 녹색은 같은 색이라는 말로, 비슷한 처지의 사람들끼리 서로 어울리게 됨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입니다. ① 유유상종(類類相從) 같거나 비슷한 부류끼리 서로 어울리게 됨을 뜻함. ②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성어속담 2021. 9. 27. 선머슴이 사람잡는다 뜻 선머슴이 사람잡는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이 속담은 어떤 의미로 사용될까요? 선머슴이 사람잡는다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솜씨나 기술 등이 서툰 사람이 잘 아는 체하면서 겁없이 일에 손을 대다가 일을 그르치거나 큰일을 저지르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예) 선머슴이 사람잡는다고, 기술도 없는 사람에게 일을 맡겼더니 결국 이런 문제가 발생했구나. (예) 선머슴이 사람잡는다더니, 서툰 농사꾼이 농사를 아예 망쳐났구나. '선머슴이 사람잡는다'는 속담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속담으로는 '선무당이 사람잡는다' '서투른 의원이 생사람 잡는다' 등이 있습니다. - 선무당이 사람잡는다. 미숙한 사람이 괜히 설치다가 오히려 일을 그르치거나, 큰일을 저지르게 된다는 의미. [사자성어는 생무살인(生巫殺人)임] - 서투.. 성어속담 2021. 9. 23. 뿌린 대로 거둔다 속담 뜻 '뿌린 대로 거둔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뿌린 대로 거둔다 속담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좋은 씨앗을 뿌리면 양질의 곡식을 얻을 수 있듯이,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 그에 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뜻입니다. 즉, 잘못을 하면 벌을 받게 되고, 착한 일을 하면 그에 걸맞는 보답을 받게 되는 것처럼 본인이 행한 일에 대한 결과는 결국 본인에게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1. 심은대로 거둔다.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 그에 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의미. 2.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콩 심은 데 콩이 나고 팥 심은 데 팥이 나듯이 원인에 따라서 그에 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의미. 3.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연다. 오이 덩굴에 오이가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가 열리듯이 원인에 .. 성어속담 2021. 9. 19. 도토리 키재기 사자성어 우리 속담에 '도토리 키재기'라는 말이 있는데요, 도토리 키재기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도토리 키재기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정도가 고만고만한 사람끼리 서로 다툼을 뜻함. (예) 키가 작은 사람끼리 자기 키가 더 크다고 도토리 키재기를 하고 있었다. - 아주 비슷비슷하여 견줄 필요가 없음을 뜻함. (예) 모의고사가 너무 어려워 반 친구들 점수가 모두 도토리 키재기였다. '도토리 키재기'라는 속담과 의미가 유사한 사자성어로는 '대동소이'와 '소이대동' '막상막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대동소이(大同小異) 대개는 같거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 - 소이대동(小異大同) 대개는 같거나 차이가 거의 없다는 뜻. - 막상막하(莫上莫下) 더 낫고 더 못함의.. 성어속담 2021. 8. 22. 은혜 관련 사자성어 은혜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은혜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백골난망(白骨難忘) 죽어서 뼈만 남은 뒤에도 잊을 수 없다는 말로, 남에게 큰 은혜나 덕을 입어 너무나 고맙다는 뜻. 2. 각골난망(刻骨難忘) 은혜를 마음속에 깊이 새겨 절대 잊지 않겠다는 뜻. 3. 결초보은(結草報恩)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말로,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뜻함. 4. 결초함환(結草銜環)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말로, 은혜를 절대 잊지 않고 보답함을 뜻함. 5. 불망지은(不忘之恩) 절대 잊지 못할 은혜를 뜻함. 6. 난망지은(難忘之恩) 절대 잊을 수 없는 은혜를 뜻함. 7. 지은보은(知恩報恩) 남에게 입은 은혜를 알고 그 은혜를 갚음을 뜻함. 8. 난망지택.. 성어속담 2021. 8. 14. 일석이조 비슷한 속담 일석이조는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이득을 얻음을 뜻하는 사자성어인데요, 일석이조와 의미가 비슷한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석이조와 의미가 비슷한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도랑치고 가재 잡고 지저분한 도랑을 깨끗이 치우던 중 뜻하지 않게 가재도 잡게 되었다는 말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보는 경우를 뜻함. 2. 임도 보고 뽕도 딴다. 두가지 이상의 좋은 일을 한꺼번에 얻게 됨을 뜻함. 3. 누이 좋고 매부 좋다. 어떤 일이 서로에게 모두 이롭고 좋다는 뜻. 4. 꿩먹고 알먹고. 한가지 일로 두가지 이득을 한꺼번에 얻음을 뜻함. 5. 마당쓸고 돈줍고. 지저분한 마당을 깨끗이 쓸던 도중 뜻하지 않게 돈도 줍게 되었다는 말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익을 보는.. 성어속담 2021. 8. 1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