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기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걸해골은 해골을 구걸한다는 말로, 몸을 무사히 돌아가게 해 달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걸해골 뜻은 재상이나 신하가 늙어서 벼슬을 내놓고 물러나기 원할 때 임금에게
사직을 청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걸해골 한자는 乞骸骨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乞 : 빌 걸), (骸 ; 뼈 해), (骨 : 뼈 골)>입니다.
걸해골 예문으로는 "그는 몸이 늙어서 임금께 걸해골을 구했다고 하네!" "나도 이제 벼슬을 내려놓고
초야에 묻히려고 임금께 걸해골을 빌어볼까 한다네."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걸해골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우에게 쫓긴 유방이 고전하고 있을 때 일로, 유방은 형양으로 도망쳐 항우에게 휴전을 제의합니다.
항우는 응할 생각이었으나 아부(아버지 다음으로 존경하는 사람) 범증이 반대하는 바람에 쉽게 휴전
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사실을 안 유방과 유방의 참모 진평은 성질이 급한 항우의 성격을 이용해 범증과 사이를 갈라놓는
이간책을 썼습니다. 유방과 범증이 내통한다는 소문을 내고 항우가 그 소문을 믿을 수 있게 사신도
속였던 것입니다.
"범증이 항우 몰래 유방과 내통하고 있다." 이에 화가 난 항우는 유방에게 은밀히 사신을 보내 휴전을
제의합니다. 진평은 사신을 맞으며 이렇게 물었습니다. "범증께서는 안녕하십니까?"
"나는 초나라 왕 사신으로 온 사람이오." 사신은 불쾌한 말투로 대답했습니다.
"뭐, 초나라 왕이 보낸 사신이라고? 난 범증이 보낸 사신인 줄 알았소." 진평은 이렇게 말하며 잘 차린
음식을 나물 음식으로 바꾸라고 한 후 말없이 방을 나가 버렸습니다.
사신이 돌아와서 유방에게 그대로 보고하자, 항우는 범증과 유방이 내통했음을 확신하며 범증에게 준
모든 권리를 박탈하였습니다. 자신을 의심한다는 사실을 안 범증은 항우의 어리석음에 크게 분노했
습니다.
"천하의 대세는 이미 결정되었습니다. 뒷일은 전하 스스로 처리하소서! 원컨데 신은 이제 해골을 빌어
초야에 묻힐까 하나이다." 즉 자신의 몸을 무사히 초야에 돌아갈 수 있게 해 달라는 간청인 것입니다.
항우는 어리석게도 진평의 계략에 걸려 유능한 신하를 잃고 말았습니다. 범증은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도중에 화병으로 등창이 나서 75세의 나이로 죽고 말았습니다.
유일한 모신을 잃은 항우도 얼마 후 유방군에게 대패하여 자결하고 말았습니다.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맑은 하늘에 날벼락 청천벽력 뜻 예문 한자 유래 등 요약 정리 (0) | 2016.05.03 |
---|---|
단장의 슬픔 뜻과 유래 요약 설명 (0) | 2016.04.28 |
상사병 뜻 유래 요약 설명 (0) | 2016.04.27 |
백년하청 한자 예문 유래 등에 관한 상식 (0) | 2016.04.20 |
상여소리 만가 해로가 호리곡 유래 (0) | 2016.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