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을 오를 때 지켜야 할 등산 안전수칙은 사고방지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사항인데요, 등산 주의사항은 너무나
광범위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등산 안전수칙 위주로 살펴보겠습니다. 산을 오를 때에는 기본적인 안전장비와
비상구급장비를 잘 챙기도록 합니다.
등산 시에는 앞뒤 사람과 충돌하면 추락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앞뒤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산을 오르
도록 하고, 산행은 일찍 시작하고 해가 지기 1~2시간 전에 마치는 것이 좋은데, 세부적인 등산 안전수칙(주의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산행할 때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
1. 등산시간 및 배낭무게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하여 해지기 1~2시간 전에 마치도록 하는데, 하루 8시간 이내로 산행하며, 일행 중 가장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산행하며, 배낭의 무게는 30kg을 넘지 않도록 하여 체력의 30%는 비축해야 합니다.
2. 지참물품 및 등산화
배낭에는 기상이변 등을 대비해 랜턴, 우의, 휴대전화(예비축전지), 상비약품을 준비하고, 손에는 될 수 있으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하며, 등산화는 발에 잘 맞고 톻기성과 방수능력이 좋은 것을 신도록 합니다.
3. 걷기 및 휴식 방법
보폭은 너무 넓게 하지 말고 항상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등산화 바닥 전체로 지면을 밟고, 발 디딜 곳을 잘
살피면서 천천히 안전하게 걷도록 합니다. 길을 잘못 들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아는 지나온 위치까지 되돌아
가서 다시 위치를 확인하며, 아는 길도 지도를 보고 확인해야 합니다.
등반로 외의 산행은 삼가하고, 길을 잃었을 때는 계곡을 피하여 능선으로 올라가야 하며, 산행 중에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자주 섭취하도록 합니다.
처음 몇 차례는 15~20분 정도 걷고 5분간 휴식하고, 차츰 30분 정도 걷고 5~10분간 휴식한 다음 산행에 적응이
되면, 1시간 정도 걷고 10분간씩 규칙적으로 휴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지형과 지도는 수시로 대조
산행 시에는 수시로 지형과 지도를 대조하여 현재 위치를 소방서에서 설치한 위치판 고유번호와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야생동물 및 곤충 주의
야생동물이나 곤충으로부터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뱀 등이 나타나면 절대로 공격하지 말아야 하며,
벌레에 물리면 비눗물로 즉시 씻고, 준비한 연고를 바르도록 합니다.
6. 하산할 때
내려갈 때는 자세를 낮추고 발 아래를 잘 살펴서 안전한게 디뎌야 하며, 썩은 나뭇가지, 풀, 불안정한 바위를 손
잡이로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급경사 등 위험한 곳에서는 보조 자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집중호우 대처요령
등산 중 집중호우를 만나면 빨리 하산하거나 급히 높은 지대로 피신하되, 물살이 거센 계곡은 절대로 건너지
않도록 합니다. 라디오에 귀를 기울여 기상상태를 주시하고, 장시간의 집중호우가 지속되면 119에 신고하여
일행의 위치를 알려주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도록 합니다.
<캠핑할 때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1. 텐트 장소
계곡에서 캠핑할 때는 밤사이 집중호우가 내려 물이 갑자기 불어나면서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물 가까이 텐트
를 치지 않습니다. 텐트 장소는 사용할 물을 쉽게 구할 수 있고 바닥이 평평해야 하며, 뒤에 암벽이나 언덕이
없어 산사태 위험이 없는 곳에 텐트를 치도록 합니다.
2. 기상상태 상시 주시
호우주의보에 대비해 라디오에 귀를 기울여 기상상태를 주시하며, 기상관측에 잡히지 않는 기습 집중호우에도
유의하고, 휴대용 랜턴, 밧줄(로프), 구급약품 등을 준비해 두어야 합니다.
3. 계곡 물이 불어났을 때
야영 중에 물이 밀려들 때는 절대로 물건에 미련을 두지 말고 신속히 안전지대로 대피해야 하며, 나무로 만든
다리(교량)는 건너지 않도록 합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명신청방법과 절차 알아볼까요 (0) | 2016.03.12 |
---|---|
탄산수 맛있게 먹는법 효능 등 요약 정리 (0) | 2016.03.05 |
촌수계산법 친족 호칭 요약 정리 (0) | 2016.02.09 |
오르막길 운전 안개길 운전 등 상황별 안전운전요령 (0) | 2016.01.26 |
중고차 구매요령 침수차량확인방법 (0) | 2016.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