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상식

촌수계산법 친족 호칭 요약 정리

고두암 2016. 2. 9.

친척관계 중 어렵게 느끼는 부분이 촌수인데, 촌수계산법 그리고 친족호칭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가족과 친족의 형성은 부부로부터 시작되므로, 부부가 있은 뒤에 자녀와 형제관계가 형성되고 3촌 4촌 5촌

등의 친족관계가 성립되게 되겠지요.

 

일반적으로 아버지를 중심으로 하는 친척관계는 친족이라고 하며,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친척관계는 외족이

라고 합니다. 이에 알기쉽게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가족.친족 간의 촌수와 그에 따른 호칭을 아래와 같이

요약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무촌>

남편과 아내 사이로 즉 부부는 무촌입니다. 부부 사이에는 촌수를 따질 수 없으므로 무촌이 되는 것입니다.

 

<1촌>

부모와 자식 간으로, 혈육 중에 가장 가까운 사이이므로 일촌이 됩니다.

 

 

<2촌>

형제 사이로 자녀가 둘이면 형제, 셋이면 삼형제, 더 많으면 사형제, 오형제 등으로 불립니다. 이 때 남자형제

끼리는 나이에 따라 형, 동생으로 부르며, 여자형제는 나이에 따라 언니, 동생으로 부르고, 남자의 경우 나이

많은 여자형제는 누나라고 부르며, 여자의 경우 나이 많은 남자형제를 오빠라고 부릅니다.

 

<3촌>

아버지의 동생으로, 아버지의 손위 형제를 백부(큰아버지), 손아래 형제를 숙부(작은아버지), 그리고 여자형

제를 고모라고 하며, 그 배우자를 각각 백모(큰어머니), 숙모(작은어머니), 고모부(고숙)라고 부릅니다. 

 

<4촌>

아버지 형제(백부, 숙부 등)의 자녀들 즉 사촌형제입니다. 사촌형제를 종형제라 하는데, 아버지의 남자형제가

낳은 자녀는 친사촌, 어버지의 여자형제가 낳은 자녀는 고종사촌이라고 부르며, 나이에 따라 누나, 형, 오빠,

동생 등으로 부르면 됩니다.

 

 

<5촌>

아버지의 사촌형제로 남자 사촌형제는 당숙으로 부르고, 여자 사촌형제는 당고모 혹은 종고모라고 불립니다.

 

<6촌>

아버지 사촌형제가 낳은 자녀들로 즉 육촌형제입니다. 아버지의 남자 사촌형제 자녀는 남자일 경우는 재종

형제, 여자일 경우는 재종매라고 하며, 아버지의 여자 사촌형제 자녀는 남자일 경우 내종형제, 여자일 경우

내종매라 하며, 나이에 따라 형, 누나, 오빠, 동생 등으로  호칭하면 됩니다. 

 

 

<7촌>

아버지의 육촌형제로 남자 육촌형제일 경우는 재당숙으로 부르고, 여자 육촌형제일 경우는 재당고모 혹은

재종고모라고 부릅니다.

 

<8촌>

아버지의 육촌형제가 낳은 자녀들로 즉 팔촌형제를 말합니다. 팔촌형제는 삼종형제라고 하며, 나이에 따라

형, 누나, 오빠, 동생 등으로 부릅니다.

 

참고로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자신에게 2촌간이며, 자신의 조카와는 3촌간이 됩니다. 또 자신의 장인 장모는

인척 1촌간이 되며, 처남 처제는 인척 2촌간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