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결핵예방법 치료법 상식

고두암 2016. 2. 13.

제3군감염병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결핵예방법은 생후 1개월 이내에 BCG 접종을 하는 것인데, 결핵 치료법

그리고 결핵이란 무엇인지 핵심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핵은 어릴수록 위험한데요, 전 세계적으로 한 해

동안 약 9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150만 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결핵을 제3군감염병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으며

54종의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중 수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신고 수와 가장 많은 사망자 수를 기록하고 있습

니다.

 

<결핵이란 무엇인가>

결핵균에 감염된 상태를 말하며 대부분 호흡기에 감염을 일으키나 뼈, 콩팥, 신경 등 다른 장기에도 결핵균에

의한 감염이 올 수 있습니다. 결핵 질환은 임상 증상이나 방사선 소견이 뚜렸해졌을 때 일컬으며, 보통 결핵이

라 할 때에는 결핵 질환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 결핵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

아직도 우리나라는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결핵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다양하지만 첫째,

인구 고령화에 의한 면역력이 약한 노인 환자 증가, 둘째,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젊은층 환자의 증가, 셋째, 

외국인 유입 환자의 증가, 넷째, 약재 내성율의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결핵의 감염 및 전염 경로>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가루 방울에 의해 감염됩니다. 비록 감염되었다 하여 초기에

모두 결핵 질환으로 발병하는 것은 아니며, 초기는 별다른 증상은 없지만 진행되면서 피로감, 식욕감퇴, 체중

감소, 기침, 가래, 흉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어린아이들이 유독 위험한 이유>

결핵균에 감염되어 결핵 질환으로 진행할 위험률은 성인은 5~10% 낮은 반면에 면역이 약한 어린아이들은

25~50%로 높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소아는 초기 감염 후 12개월 이내에 결핵 질환으로 진행하며, 이 중에 60~80%가 폐결핵으로 발병하고 결핵성 수막염은 5세 미만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대개는 결핵 감염 후

2~6개월 이내에 발병합니다. 

 

따라서 결핵균에 노출된 2세 미만의 소아는 BCG 접종에 관계없이 최소 3개월간은 한 가지 결핵약을 투여하

서 검사 결과와 임상 경과를 관찰받게 됩니다.

 

<결핵의 증상>

감염된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폐결핵의 경우 피로감, 식욕 감퇴, 체중 감소, 기침, 가래,

흉통, 발열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결핵의 예방법>

생후 1개월 이내에 BCG 접종을 하도록 하고, 혹시 해외에서 출생한 경우나 접종 시기를 놓친 경우 꼭 진료

받도록 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합니다.

 

가족이나 친척 중에 결핵 환자가 발생한 경우 빠른 시일내에 접촉자 모두 검진을 받고 필요한 조치를 받아

합니다.

 

③유치원이나 학교에서 환자가 발생한 경우 학교 보건교사나 보건소에서 필요한 조치를 받도록 하고 잠복

결핵이라고 판정되면 지침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한 가지 약물을 투여 받아야 합니다.

 

④무리한 다이어트는 피하고, 균형잡힌 식단과 손 씻기를 철저히 하고, 특히 기침은 손으로 가리지 말고 팔목

나 팔꿈치 안쪽에 하거나 손수건을 이용하고, 가래 등은 함부로 뱉지 말고 꼭 휴지에 싸서 버려야 합니다.

 

⑤감기라고 생각되더라도 기침이 오래 지속되거나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몸무게가 줄거나 식욕 저하 등 증상

오래 동반되는 경우에는 진료와 검사를 받아서 조기에 발견하고 서로 간의 전파를 막도록 해야 합니다.

 

참고로 결핵균은 약을 잘 복용하면 2주 이후에는 전염력이 없으므로 친구나 동료를 피하는 등 과민 반응을

보일 필요는 없습니다.

 

 

<결핵의 치료법>

약물 치료가 원칙입니다. 잠복 결핵의 경우 연령과 검사 결과에 따라 한 가지 약물을 투약하게 되고, 결핵 환자

로 판명된 경우 다른 약제들을 병용하여 일정 기간 투여하게 됩니다.

 

하지만 내성균인 경우나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폐결핵 이외의 장기에 발생한 경우는 다른 치료제를 사용

나 수술적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아이에게 결핵이 의심되면 진료와 검사를 받고, 잠복 결핵인 경우는 외부에 알릴 필요가 없지만 결핵 환자로

확진된 경우는 유치원이나 학교에 반드시 알려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