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할 때 다양하게 표시되는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은 차량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알리는 표시입니다.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종류는 참으로 다양한데요, 그 의미를 하나하나 살펴보고 안전운행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계기판에 경고등이 표시된다는 것은 오일이나 냉각수 등이 부족하거나 부속품이 고장났다는 증거이므로
즉시 자체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본인이 수리하지 못하는 경우는 정비공장을 방문해야 합니다.
1. 엔진오일 경고등
엔진오일 부족으로 유압이 낮아지게 되면 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주행중에 이 경고등이 점등되면 되도
록이면 빠른 시간 내에 엔진 오일량을 체크하고 부족한 경우에는 엔진오일을 구입하여 직접 보충하거나
정비소를 방문하여 보충해야 합니다.
2. 배터리 충전 경고등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팬밸트가 끊어졌을 때, 충전 장치(제네레이터)가 고장이 났을 때 점등됩니다.
경고등이 점등된 채로 운행하게 되면 배터리가 방전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정비소를 방문하여 충전 계통을 점검해야 합니다.
3. 에어백 경고등
시동을 건 상태에서 이 경고등이 약 6초간 점등된 후 에어백 장치에 이상이 없으면 자동으로 소등됩니다.
만약 일정 시간이 지나도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고 계속 점등되어 있거나 주행 중 경고등이 점등된다면,
에어백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안전을 위해 정비소에서 점검받아야 합니다.
4. 문열림 경고등
도어가 열려 있거나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이 경고등이 점등될 때는 자동차
문을 다시 한 번 닫아주면 자동 소등됩니다.
5. 안전벨트 경고등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동을 켰을 때 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시동을 건 후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자동 소등됩니다.
6. 브레이크 경고등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을 경우와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경우에 이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시동을 켠
후 주차 브레이크의 잠금을 해제하면 자동 소등되며, 만약 소등이 되지 않는다면 브레이크액이 부족하단
의미이기 때문에 가까운 정비소를 방문하고 브레이크액을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7. 엔진 체크 경고등
차량 주행 중 엔진에 이상이 생기거나 흡/배기 장치 혹은 연료 관련 부품에 이상이 있을 때 주로 점멸(켜
졌다 꺼졌다 함)됩니다. 자동차의 수명와 안전을 위해 정비소를 방문해 이상유무를 점검해야 합니다.
8. ABS 경고등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강하게 밟을 때 타이어가 잠겨 조향이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ABS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는 1초에 10회 이상 타이어를 잠그고 푸는 것을 반복하여 타이어가 잠기는 것을 방지
해 줍니다.
주행 중에 ABS 퓨즈가 끊어진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차를 정차한 후 퓨즈박스에 있는 ABS 퓨즈를
점검하도록 합니다.
9. EPS 경고등
이 경고등은 전동 파워스티어링 경고등으로 핸들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돌릴 수 있도록 하는
EPS 장치에 이상이 생길 때 점등됩니다. 주행 중에 이 경고등이 점등될 경우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에 문제가 있어 핸들의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비소에 방문하여 점검받아야 합니다.
10. 냉각수 수온 경고등
냉각수의 온도가 125도에서 +2.5~-2.5도 이상일 때 점등됩니다. 냉각수가 적정 범위에 있을 때는 등이
자동 소등되지만 계속 점등되어 있다면 정비소에 방문하여 냉각수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오일 체크방법 브레이크오일 점검법 (0) | 2016.01.05 |
---|---|
자동차 배터리 점검법 알아두세요 (0) | 2015.12.28 |
보고 잘하는 법 (0) | 2015.12.23 |
전화예절 알아봐요 (0) | 2015.12.22 |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어떻게 할까 (0) | 2015.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