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려는 의욕과 달리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의 종류는 총 7가지로 분류되는데,
사회적인 여건에 따라 실업의 분류는 차이가 있지만 실업의 종류별로 어떠한 내용들이
있는지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의 종류는 경기적 실업, 구조적 실업, 기술적 실업, 마찰적 실업, 비자발적 실업,
자발적 실업, 잠재적 실업으로 분류되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기적 실업(景氣的失業) : 경기가 침체되었을 때 인원 감축 결과로 나타나는 실업으로
일할 의사는 있지만 경기 악화로 일자리가 없는 비자발적 실업의 한 형태입니다.
경기가 회복되면서 해소될 가능성이 높지만 회복될 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하며, 경기의
변동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속성이 있어 경기적 실업은 끊임없이 반복 발생합니다.
구조적 실업(構造的失業)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경제구조가 바뀌고 기술혁신 등으로
기술격차가 발생할 때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실업유형입니다.
경기적 실업과 비교할 때 더 오래 지속되는 속성이 있는 장기적.만성적 실업으로 해결
방법은 직업재훈련과 산업구조 재편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술적 실업(技術的失業) : 기술진보로 인해 기계가 노동인력을 대체함에 따라 노동수요
가 감소해 발생하는 구조적 실업의 형태 중 하나로 넓은 의미의 구조적 실업에 포함되며
기술진보의 영향에 민감한 산업에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 볼 수 있는 유형이
라고 하겠습니다.
마찰적 실업(摩擦的失業) : 구직자, 근로자들이 더 좋은 조건을 찾는 탐색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실업으로 고용시장에서 노동의 수요와 공급 간에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
합니다.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해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실업 유형이므로 자발적
실업에 해당한다고 하겠습니다.
비자발적 실업(非自發的失業) : 일하고자 하는 의사는 있지만 고용시장 사정이 어려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발생하는 실업으로, 청년실업 경우는 경기 상황에 따라 일자리
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자발적 실업에 속합니다.
자발적 실업(自發的失業) : 일할 의사와 능력은 있지만 현재의 임금수준이나 복지 등에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의 취업을 원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실업으로,
구조적 실업이나 경기적 실업과 같은 비자발적 실업과는 상반되는 개념이며, 소득수준,
여가시간 활용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발적인 실업도 늘고 있습니다.
잠재적 실업(潛在的失業) : 겉으로는 취업 중이지만 생계유지를 위해 잠시 만족스럽지
못한 직업에 종사하며 계속 더 나은 직종을 구하려고 애쓰는 상태를 뜻합니다.
형식적으로는 취업 중이기 때문에 실업통계에는 실업으로 기록되지 않아 위장실업이라
하기도 합니다. 즉, 더 나은 곳으로 이직을 생각하지만 당장의 생계유지 때문에 저소득.
저생산 직업에 잠시 종사하는 상태인 것이지요.
위의 실업의 종류에서 보듯이 실업의 유형은 크게는 비자발적 실업과 자발적 실업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할 의사는 있으나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비자발적인 실업에는 경기적 실업, 구조적
실업, 기술적 실업, 비자발적 실업이 있으며, 본인이 더 좋은 여건을 희망해 생기는 자발
적 실업으로는 마찰적 실업, 잠재적 실업, 자발적 실업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의해석과 법의 흠결이란 (0) | 2015.05.26 |
---|---|
현대미술의 종류와 근대미술사조의 구분 (0) | 2015.05.24 |
헌법개정절차와 법률 제정 절차는 어떻게 진행될까 (0) | 2015.05.18 |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는 (0) | 2015.05.17 |
국어 수사법 3대원칙과 세부내용은 (0) | 2015.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