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다양한 표현을 위한 국어 수사법 3대원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국어 수사법
3대원칙과 수사법의 분류에 따른 세부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사법 3대원칙에는 비유법(구상의 원칙), 강조법(뜻을 더함), 변화법(조화를 이룸)이
있는데, 비유법은 생동감을 주고, 강조법은 많은 뜻을 함축하여 강한 인상을 주며,
변화법은 단조로움을 피하며 조화를 이루게 하는 표현입니다.
이런 국어 수사법을 분류해 보면 여러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세부적인 구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비유법의 세부적인 구분과 내용입니다.
직유법 : ~처럼, ~같이, ~듯이, ~인양
은유법 : 원관념을 보조관념으로 표현하는 방식
대유법 : 일부로 전체를 표현하는 제유법과 속성으로 본질을 표현하는 환유법으로 구분
풍유법 : 속담, 격언으로 풍자
의인법 : 사물과 동물을 사람처럼 표현
활유법 : 사물을 생명체처럼 움직이는 것으로 표현
의성법 : 소리를 사용
의태법 : 모양이나 형상을 사용
중의법 : 2가지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게 사용
상징법 : 원관념 없이 보조관념으로 표현
다음은 강조법의 세부적인 구분과 내용입니다.
과장법 : 원래보다 크게 또는 작게 표현
영탄법 : 감탄을 통해 표현
점층법 : 점점 강하고 크게 혹은 넓게 표현
점강법 : 점점 약하고 작게 또는 좁게 표현
대조법 : 단어나 구절을 반대로 표현
비교법 : 단어나 구절을 비슷하게 표현함
현재법 : 현재 시제로 생생한 감동을 줌
억양법 : 칭찬하다가 욕하거나 욕하다가 칭찬 함
열거법 : 단어의 구절을 열거함(나열법이라고도 함)
미화법 : 원래보다 아름답게 표현
생략법 : 단어나 구절을 생략
연쇄법 : 끝말 잇기 식으로 표현
반복법 : 같은 단어나 구절을 반복
끝으로 변화법의 세부적인 구분과 내용입니다.
설의법 : 다 아는 결론을 의문으로 표현
도치법 : 단어나 구절의 순서를 바꿈
인용법 : 다른 구절을 인용해서 표현
대구법 : 비슷한 단어나 구절을 반복
반어법 : 속뜻과 반대로 표현
문답법 : 묻고 답하는 방식으로 표현
역설법 : 모순으로 진리나 교훈을 표현
이 글에서는 구체적인 예시없이 수사법의 세부적인 구분과 개념만 안내하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법개정절차와 법률 제정 절차는 어떻게 진행될까 (0) | 2015.05.18 |
---|---|
대통령의 권한과 의무는 (0) | 2015.05.17 |
헌법재판관 구성과 헌법재판소의 권한 (0) | 2015.05.15 |
사후매수죄 뜻을 알아봐요 (0) | 2015.05.12 |
카톨릭과 개신교의 차이는 무엇일까 (0) | 2015.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