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 삼배 인조의 굴욕 삼전도의 굴욕 상식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인조는 굴욕의 왕입니다. 인조 삼배로 인한 삼전도의 굴욕이자 인조의 굴욕은 비단 인조 개인에게만 국한된다고 할 수 없습니다. 실리외교에 어둡고 당리당략에 눈이 멀어 당파 싸움만 일삼던 조정 대신들에게도 씻지 못할 치욕을 앉겨주었고, 한심한 왕과 신하들로 인해 도탄에 빠진 백성들만 불행한 시대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굴욕의 왕 인조(재위 1623~1649)가 병자호란 때 경기도 광주군의 한강 변두리 삼전도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한 후, 세 번 절하고 아홉번 바닥에 이마를 찧으며 충성을 맹세하는 치욕을 겪었는데요, 인조 삼배는 바로 삼전도의 굴욕이자 인조의 굴욕인 것입니다. 조선이 임진왜란의 후유증에서 미처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 무렵인 1616년, 만주에서는 누루하치가 금나라를 잇.. 한국역사 2023. 9. 9.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인 이유 강화도 조약은 불평등한 조약인데요, 강화도 조약이 불평등 조약인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일본의 강압으로 맺어진 조약인 강화도조약의 공식 명칭은 '조·일수호조약'이며, 병자수호조약이라고도 합니다. 1868년, 일본군이 군함을 끌고와 부산항에서 함포를 쏘아 대며 조선을 압박하더니, 급기야 강화도에서 운요호 사건을 일으켜 결국 1876년 2월 3일(음력) 강화도조약을 체결하였습니다. 1873년 20세를 넘긴 고종이 직접 정치를 하겠다고 나서자 흥선대원군과 함께 쇄국정책은 물러가 버렸고 정권은 왕비 민씨 일파가 쥐었습니다. 흥선대원군이 물러남으로써 외국에 대해 개방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어나자 일본은 1875년 2월부터 군함을 이끌고 동해, 남해, 서해에서 무력 시위를 벌였습니다. 그 뒤.. 한국역사 2023. 2. 27. 두문동 72현 그들은 누구인가 고려가 멸망하자 고려 문인들 72명과 48명의 무신들은 더 이상 관직에 있을 이유가 없다며 관직을 버리고 개성(개경) 남쪽에 있는 만수산으로 들어가 훗날 두문동이라 불린 곳에 모여 살았습니다. 이들이 바로 두문동 72현과 48현인데요, 그들은 어떤 일이 있어도 집밖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럼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 습니다. 두문동 72현은 두문동 48현과 함께 세상과 등지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습니다. 이성계가 높은 벼슬을 제안하며 설득했지만 끝내 거절하였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두문동을 포위하고 불을 질러 버렸습니다. 불을 지르면 그들이 밖으로 뛰쳐나올 것 이라고 예상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이성계의 예상과는 달리 그들은 집 밖으로 한발짝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밖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집에.. 한국역사 2017. 9. 2. 조선헌법 경국대전 완성 및 내용 조선의 헌법으로 불리는 경국대전은 조선시대 정치 기준을 이루는 법전으로 오늘날 헌법과 형법의 중간 정도에 준하는 법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국대전은 조선 초 법전인 경제육전의 원전과 속전 및 그 뒤의 법령을 종합해서 만든 것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조가 즉위 초에 최항, 노사신 등에게 명하여 편찬이 시작되었습니다. 대부분은 세조 때 만들어졌으며, 세조가 승하한 뒤 부족한 부분을 고치고 다듬어 성종때 완성하여 반포(1485년 1월 1일)하였습니다. 이로써 조선은 유교적 법치 국가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경국대전을 편찬할 때 먼저 재정.경제의 기본이 되는 '호전'을 완성한 뒤 '형전'을 완성하였으며, 이전, 호전, 예전, 병전, 형전, 공전 등 6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경.. 한국역사 2017. 4. 25. 일본 역사왜곡 사례 (내용) 일본이 역사 교과서를 왜곡하고 있어요 일본은 감추고 싶은 역사가 많은 나라입니다. 그래서 일본이 역사 교과서를 왜곡하고 있어요. 왜 일본은 '역사왜곡'을 할까요?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사왜곡이란 이미 일어난 역사를 자신의 후세들에게 거짓으로 꾸며 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역사가 훌륭할수록 그 나라의 국민은 더 큰 자부심과 애국심을 갖게 됩니다. 그래서 부끄러운 역사를 감추려고 역사를 왜곡하는 것이겠지요! 1. 일제강점기 시설정비 일본은 일본교과서에 일제강점기 때 일본이 우리나라의 여러시설을 정비해서 우리 나라가 발전할 수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이 조선(우리나라)에 여러가지 시설을 만든 이유는 조선을 발전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원을 강탈 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려고 한 것일 뿐입니다. 2. 임나일본부설 일본은.. 한국역사 2017. 3. 14. 안중근의사 서거일 및 사형선고일 민족의 영웅 안중근의사 서거일은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이며, 안중근 의사 사형선고일은 1910년 2월 14일입니다. 1910년 3월 26일 순국한 안중근 의사께서는 "2,000만 우리 형제자매가 분발해서 학무에 힘쓰고 산업을 진흥하여 자주독립을 회복 하기 바랍니다." 라고 유언을 남기셨습니다. 공고롭게도 우리가 초콜렛을 주고 받는 발렌타인데이가 안중근 의사께서 사형선고를 받은 날입니다. 민족의 영웅이신 안중근 의사를 생각한다면 이날은 엄숙해야 하지 않을까요? 일본이 안중근 의사 사형선고일을 숨기려고 얄팍한 상술로 초콜렛을 주고 받는 날로 만들지는 않았는지 한번쯤 생각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민족의 치욕이자 역사적인 치욕입니다. 당연히 발렌타인데이 인지 나발인지를 없애야 .. 한국역사 2017. 2. 16. 갑오개혁 홍범14조 내용 및 배경 일본의 강압으로 1894년 갑오개혁이 실시되고 고종은 홍범14조를 선포합니다. 갑오개혁은 일본의 강압에 의해 실시된 근대적 개혁으로 개혁 기구인 군국기무처가 설치되고 김홍집 이 중심이 되어 내정을 개혁했는데요, 갑오개혁 홍범14조에 대해 아래와 같이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일본은 조선 내정을 간섭하고 청나라 세력을 조선에서 몰아내려고 강압적으로 갑오개혁을 실시한 것입니다. 일본은 갑오개혁 이후 청.일전쟁을 일으켜 두달만에 승리하였으며, 이에 조선정부는 친러정책을 펴고 러시아의 도움으로 일본군을 조선에서 내몰려고 하자, 일본은 결국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까지 일으켰습니다. 1894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실시한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근대적 개혁으로서 근대화의 출발점은 되었으나, 보수적 봉.. 한국역사 2017. 2. 6.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