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부를 때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부를 때는 어떤 호칭을 써야 할까?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부를 때 호칭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선대부인(先大夫人)이라는 호칭을 사용합니다. 선대부인(先大夫人)은 돌아가신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입니다. (예) 그는 선대부인의 묘소에 갔다.(예) 그의 선대부인께서는 휼륭한 분이셨다.(예) 그녀의 선대부인은 유명한 시인이셨다. 1. 자당(慈堂)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2. 대부인(大夫人)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3. 모부인(母夫人)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4. 모당(母堂)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5. 당로(堂老)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6. 훤당(萱堂)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7. 북당(北堂) 남의.. 생활상식 2022. 4. 4. 돌아가신 부모님 호칭 돌아가신 부모님 호칭에는 어떤 말들이 있을까요? 돌아가신 부모님 호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아버지 ① 선친(先親)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남에게 이르는 말. ② 선고(先考)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③ 선군(先君)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④ 선군자(先君子)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⑤ 선부(先父)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⑥ 선엄(先嚴)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⑦ 선인(先人) 남에게 대하여,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2. 어머니 ① 선자친(先慈親) 세상을 떠난 어머니. ② 선자(先慈) 세상을 떠난 어머니. ③ 망모(亡母) 돌아가신 어머니. ④ 선비(先妣)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 생활상식 2022. 3. 31. 공무원 축의금 한도 공무원이 축의금을 받을 수 있는 한도는 얼마까지일까요? 공무원 축의금 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이 축의금을 받을 수 있는 한도는 5만원까지입니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에서는 경조사비(축의금, 조의금)를 5만원까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축의금이나 조의금을 대신 하는 화환이나 조화는 10만원까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공무원이 받을 수 있는 음식물 가액, 경조사비 가액, 선물 가액의 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음식물 : 3만원까지 (제공자와 공직자 등이 함께 하는 식사, 다과, 주류, 음료, 그 밖에 이에 준하는 것) ② 경조사비 : 5만원까지 (축의금, 조의금, 다만, 축의금이나 조의금을 대신 하는 화환이나 조화는 10만원까지) ③ 선물 :.. 생활상식 2022. 3. 19. 비타민 c b 종합비타민 등 비타민 섭취시간 건강을 지키기 위해 비타민을 섭취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비타민은 하루 중 언제 섭취해야 효과가 좋을까요? 비타민 섭취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비타민 c 섭취시간 흡수률을 높일 수 있도록 아침 식사 30분 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식전에 비타민 c를 섭취했는데 산성 성분 때문에 속이 쓰리다면 아침 식사를 마치고 곧바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종합비타민 섭취시간 종합비타민제에는 칼슘, 아연, 마그네슘, 구리 등의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요, 미네랄은 위산이 분비되어야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식사 중이나 식후 즉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식후 곧바로 섭취하지 못했다면 식후 15분 이내에는 반드시 섭취하도록 해야 합니다. 3. 비타민b 섭취시간 밤사이에 쌓인 노폐물.. 생활상식 2021. 9. 29. 시누이의 남편 호칭 시누이(남편의 누나 또는 여동생)의 남편을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시누이의 남편 호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스리면 '아주버님' 또는 '서방님'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남편의 누나 남편은 '아주버님' 또는 '서방님'으로 부르고 남편의 여동생 남편은 '서방님'으로 부르는 것이 표준화법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① 남편의 누나 남편아주버님 또는 서방님으로 호칭 ② 남편의 여동생 남편서방님으로 호칭 최근에 시누이 남편에 대한 호칭으로 아주버님, 서방님, 고모부님, 시매부님 등의 호칭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는 아주버님과 서방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아주버님서울, 경기, 중부지방 등을 비롯해 여러 지방에서 시누이의 남편을 .. 생활상식 2021. 6. 6.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를 때는 어떤 말을 사용해야 할까요?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로는 '사모님'과 '부인'이 있습니다. - 사모님(師母-)스승의 아내나 남의 아내, 윗사람의 아내를 높여 부르거나 이르는 말입니다. (예) 사모님도 안녕하시지요?(예) 안녕하세요? 사모님!(예) 사모님께서 전화하셨습니다.(예) 사모님! 저는 김과장입니다.(예) 사장님은 사모님을 끔찍이 위하신다. - 부인(夫人)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입니다. (예) 부인과 함께 오시기 바랍니다.(예) 부인께서도 안녕하시지요?(예) 그는 부인을 끔찍이 위한다.(예) 그녀는 김과장의 부인이다. 참고로 윗사람이나 스승의 아내는 '부인'보다는 가급적 '사모님'이란 말을 쓰는 것이 바람직합.. 생활상식 2021. 5. 23. 라면 소비기한 라면은 소비기한이 어떻게 될까요? 라면 소비기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라면의 소비기한은 제조일로부터 13개월입니다. 라면의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5개월이며, 라면의 소비기한은 유통기한이 경과한 후로부터도 8개월까지이므로 라면의 소비기한은 제조일로부터 13개월까지입니다. - 라면 유통기한 제조일로부터 5개월까지 - 라면 소비기한 제조일로부터 13개월까지 (유통기한 5개월 + 유통기한 경과 후 8개월) 우리는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섭취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버리게 되는데요, 식품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은 다르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일지라도 소비기한이 지나지 않았다면 먹어도 됩니다. 라면의 면과 스프는 건조한 상태에서 단단하게 밀봉되어 있으므로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다른 식품보다 매우 긴 편입니다... 생활상식 2021. 3. 4.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