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상식

신극운동과 단체 간략 설명

고두암 2015. 6. 6.

1908년에 시작된 신극운동이란 무엇인가? 신극운동의 의의와 함께 신극 운동 단체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신극운동이란 서구 근대극의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 근대극 운동으로 신극운동은 종래의

창극이나 신파극을 반대하면서 근대 의식을 불어넣고자 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습니다.

 

 

신극운동은 1908년 우리나라 최초의 신극장인 원각사에서 이인직의 신소설 '은세계'

공연하면서 시작되었고, 1920년대에 신극 운동 단체인 극예술협회와 토월회가 토대를

았으며, 1930년대에 극예술연구회에서 확립하였습니다.

 

'근대극'이란 19세기 말~20세기 초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 퍼진 연극사조입니다. 

 

 

주요 신극 운동 단체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극예술극협회, 토월회, 극예술연구회'

가 있는데 그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극예술협회 : 1920년 김우진, 마해송 등 도쿄 유학생을 중심으로 설립되었고, 서양 고전과

근대극을 연구하면서, 순회극단을 조직해 새로운 연구운동을 주창(앞장서서 주장하는 것)

하였습니다.

 

 

토월회 : 1923년 박승희를 중심으로 설립해 김기진, 홍사용, 윤심덕 등이 활동하였는데,

서양 번역극과 박승희의 창작극을 공연하였으며, 사실주의 수법의 도입과 근대극 창작에

이바지 하였습니다.

 

극예술연구회 : 1931년 홍해성, 유치진 등이 결성하였으며, 서구 사실주의를 도입해 신극

운동에 기여하였으며, 기관지 <극예술>을 발간하였습니다.

 

 

참고로 '은세계'와 '극예술'이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은세계 : 1908년에 간행된 이인직의 신소설로 봉건 관료의 부패와 그에 항거하는 민중

의식과 개화사상을 그린 작품입니다.

 

 

극예술 : 1934년 4월 극예술연구회의 기관지로 서울에서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연극

전문지입니다. 이 잡지는 일제의 민족문화운동 탄압정책에 의하여 정간 처분을 받아서

1936년 9월 제5호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발간하지 못했습니다.

 

일제 강점기로 인해 우리나라 문학이 제대로 발전하지 못한 점은 너무나 아쉽습니다. 문학

공부를 하시는 학생들께 참고되었으면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