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소녀와 아빠의 대화 중 "아빠 고인돌이란게 뭐야?" 하니 "응! 고인돌이
란 아주 아주 옛날에 무덤위에 큰돌을 세워놓은 거야" 라고 아빠가 대답하네요.
학생들에게 나름 쉽게 설명한 대답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이란 죽은 사람을 묻은 자리 위에 큰 돌들을 세운 다음에 그 위에 넓고
평평한 큰돌을 다시 지붕처럼 덮은 지배층의 무덤입니다.
고인돌은 북방식과 남방식으로 구분되는데요,
북방식 고인돌은 지상에 묘실(관이 들어있는 네모 모양의 방)을 설치한 뒤에
그 위에 평평하고 큰 돌덮개를 올리는 형태이며,
남방식 고인돌은 지하에 묘실을 만든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려놓고 지주돌을
받치는 형태입니다.
지금처럼 과학과 중장비가 발달되지 않은 선사시대(기원전 2,000년경)에는
고인돌을 세우는데는 많은 인력이 필요했으므로 고인돌(무덤)의 주인이 권력
과 경제력을 갖춘 지배층이었음을 알 수 있답니다,
참고로 선사시대(문자 기록전 시대)의 고분(오래된 무덤) 변화를 살펴보면,
신석기시대는 토묘를 사용했었고, 청동기시대는 고인돌, 선돌, 돌무지 무덤
을 사용했으며, 철기시대에는 토광묘와 독무덤이 사용되었습니다.
정리하면, 고인돌이란 선사시대인 청동기시대의 무덤으로 큰돌을 사용하여
지붕처럼 덮개를 만들어 놓은 지배층의 고분입니다.
'한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농민운동 의의와 폐정개혁안12조는 반봉건적 민족운동 (0) | 2015.04.08 |
---|---|
갑신정변 배경과 갑오개혁 내용은 (0) | 2015.04.07 |
실학사상이란 실용적 학문을 바탕으로 한 사회개혁사상 (0) | 2015.03.24 |
공음전이란 고려시대 관료에게 세습이 허용된 토지 (0) | 2015.02.27 |
훈요10조는 고려태조 왕건의 유언 (0) | 2015.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