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모를 들녘에 숨어피는 아름다운 할미꽃 효능은 질병 치료에 탁월해 한방 약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손녀들에 대한 극진한 사랑이 담긴 할미꽃사연도 우리의 마음에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할미꽃 효능은
무엇이며, 할미꽃 사연은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조한 초원에서 자라며 4~5월에 붉은 색으로 꽃을 피우는 할미꽃은 할머니의 흰머리카락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동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약 30여종이 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할미꽃의
종류에는 4~5월에 피는 가는할미꽃, 5월에 피는 분홍할미꽃, 7월에 피는 산할미꽃 등이 있습니다.
<할미꽃의 특징>
할미꽃의 키는 30~40cm 정도까지 자라고, 꽃잎의 겉은 흰색이며, 속은 붉은 색으로, 아래쪽을 향하여 피는
것이 특징인데, 산과 들판의 양지 쪽에서 잘 자라납니다. 할미꽃은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 잎으로 되어있어
우상복엽이라고 합니다. 길이 3~4cm의 작은 잎은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전체에 흰 털이 많이 나 있어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입니다.
열매를 맺을 때 암술대가 4cm 길이의 털로 덮이는 모습이 마치 할머니의 흰머리카락을 닮았다고 해서 백두웅,
허리가 구부러졌다고 해서 노고초, 또는 할미꽃이라고 부릅니다.
<할미꽃 효능>
할미꽃은 약재로 많이 쓰입니다. 한방에서는 진통, 지혈 등의 약재로 쓰이고, 복통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두통,
부종, 이질, 심장병, 학질, 위염 등에 효능이 있으며, 특히 할미꽃 뿌리를 잘 사용하면 뇌종양을 비롯해 갖가지
암도 고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할미꽃 뿌리를 주재료로 약을 만들어 뇌암, 간암, 신장암, 위암 같은 암을
호전시킨 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할미꽃 효능은 이처럼 약재로 쓰일만큼 뛰어나지만 독성이 있는 식물이기 때문에 절대로 많은 양을 한꺼번에
먹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임산부는 복용을 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옛날에는 할미꽃 뿌리를 사약으로 쓰기도
했다고 하니 함부로 다루어선 더 더욱 안됩니다.
머리가 빠질 때에 할미꽃 속에 있는 노란 꽃가루를 따서 피마자 기름에 개어 바르면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하며, 위염을 앓는 사람은 할미꽃 뿌리를 깨끗이 씻어 잘 말렸다가 가루를 내어 한번에 200~
300g씩 하루 세 번 먹으면 위염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할미꽃 사연>
옛날 깊은 산골에 할머니가 살았습니다. 얼굴은 예뻤지만 마음씨가 고약한 큰손녀와 그리 예쁜 얼굴은 아니
지만 마음이 곱고 착한 작은손녀가 함께 살았는데, 어느덧 큰손녀와 작은손녀는 나이가 차서 시집갈 때가
되고, 할머니는 손녀들을 불러 놓고 나이가 찼으니 좋은 데가 있으면 시집을 가라고 했습니다.
큰손녀는 "네, 할머니!"하고 대답했지만 작은손녀는 "아니에요, 할머니. 전 시집가지 않고 할머니를 모시고
오래오래 살겠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이웃 동네의 부잣집에서 중매가 들어와 할머니는 큰
손녀를 소개했고, 예쁜 미모의 큰손녀는 김 부자댁으로 시집을 갔습니다.
하지만 작은손녀는 먼 곳에 사는 성실한 산지기에게 시집을 가게 되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쓸쓸하게 홀로
지내고 있던 할머니는 이제 너무 늙고 병까지 들어 도저히 혼자서는 살 수가 없어 큰손녀를 찾아갔습니다.
큰손녀는 할머니를 반갑게 맞아 주었지만 보름이 지나자 푸대접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할미니는 견디다 못해 큰손녀 집을 나와 높은 산꼭대기에 사는 작은손녀 집으로 올라가기 시작했습니다.
가까스로 고개를 올라가고 있는데, 찬바람이 쌩쌩 불어 왔습니다. 춤고 숨이 차서 할머니는 한 발짝도 더
걸을 수가 없었습니다. 조금만 더 가면 되는데, 할머니는 그만 고갯마루에서 쓰러져 일어나지 못했고, 작은
손녀의 이름을 부르며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작은손녀는 할머니 생각이 나면 언덕 쪽으로 내려오곤 했습니다. 그 곳에서는 할머니가 계신 곳이 보였기
때문입니다. 집을 나섰던 작은손녀는 그곳에서 할머니의 시체를 발견했습니다. "아~ 할머니!" 작은 손녀는
엉엉 울면서 돌아가신 할머니를 양지바른 곳에 묻었습니다.
그리고 다음 해 봄, 그 무덤에서는 꽃 한 송이가 피었는데, 마치 사랑하는 손녀들을 보내고 나서 늙고 병들
고 힘없이 살던 할머니의 모습처럼 피어났습니다. 그 꽃이 바로 '할미꽃'이었습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위터란 무엇인가 '지저귀다' 라는 뜻 (0) | 2016.05.01 |
---|---|
블루오션 뜻과 전략 레드오션 뜻 등 요약 설명 (0) | 2016.04.30 |
핫도그 유래 및 어원 알아볼까요 (0) | 2016.03.23 |
퍼블리시티권이란 무엇인가 (0) | 2016.03.22 |
위의 구조와 기능 요약 설명 (0) | 2016.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