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글

브라만교와 카스트제도

고두암 2015. 7. 10.

인도의 종교 힌두교의 바탕인 브라만교는 카스트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브라만교와

카스트제도란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인도하면 흔히 불교를 떠올리게 되는데, 불교의 발상지가 바로 인도이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인도의 불교도 수는 380만명으로 총 인구의 0.7% 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인도 국민 대부분은

힌두교를 믿고 있습니다.

 

 

왜 불교가 인도에 뿌리를 내리지 못했을까요? 그것은 인도의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아리아인은 기원전 1500년경에 지금의 중앙 아시아 일대에 살던 민족인데, 한 갈래는 서유럽

으로 진출하고 또 다른 한 갈래는 인도의 남쪽으로 들어왔습니다.

 

아리아인은 인더스 강가 여러 부족을 정복하여 세력을 넓혀 갔으며, 자신들의 종교에 원주민

신앙을 합쳐 새로운 종교를 만들었으며, 그 결과 기원전 700년경에는 브라만교가 형성되었

습니다.

 

 

바로 이 브라만교가 뒷날 힌두교의 바탕으로 자리잡게 되는데, 브라만교는 태양. 불. 번개.

물 등을 신으로 섬겼으며, 최고신을 '브라흐마'라고 합니다. 브라만은 곧 브라흐마 신을 모시

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이지요. 신들의 찬가를 모은 <베다>는 초기 아리아인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브라만교는 업보와 윤회 사상의 가르침으로 점차 신분이 엄격해지기 시작했으며, 전생에서

행한 일들에 따라 현생에서의 삶이 결정된다고 믿어, 현재의 신분에 만족하면서 살면 죽은

다음 세상에서는 더 좋은 신분으로 태어난다고 믿었습니다.

 

 

이러한 사상은 엄격한 신분제도로 굳어져 갔으며, 이것을 '카스트제도'라고 합니다. 카스트

제도는 인도의 오랜 역사를 통해 매우 큰 특징이 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엄격히 지켜지고

있으며, 카스트제도에 따라 신분을 크게 나누면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로 나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자세하게 갈라진 것까지 계산하면 약 2,700가지의 신분이 있습니다.

 

카스트제도에서 제1신분인 브라만은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제사장으로 최고의 지위가 되며,

제2신분인 크샤트리아는 귀족과 무사 계급이고, 바이샤는 제3신분으로 농업. 상업 등에  

종사하는 일반 서민 계급이며, 제4신분인 수드라는 노예들입니다.

 

이런 신분제도에서는 다른 신분을 가진 사람과는 결혼을 할 수 없고, 식사도 함께 할 수가

없으며, 심지어는 요리한 것도 나누어 먹을 수 없으며,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직업을 의무

적으로 이어받으며 살아야만 했습니다.

 

 

브라만교 승려들은 차차 횡포가 심해지고 부패해져 갔습니다. 때문에 브라만교에 대한 불만

도 쌓이게 되었으며, 이런 상황에서 기원전 5세기 무렵에 불교가 생기게 되었는데, 싯다르타

(석가모니)에 의해 만들어진 불교는 브라만교와는 전혀 달랐습니다.

 

불교는 만민 평등과 해탈을 강조했고, 이는 고통받던 평민들에게 귀가 번쩍 뜨이는 가르침

이었습니다. 이리하여 불교가 융성해졌으며, 기원전 270년경에는 아소카왕도 불교를 깊이

믿어 널리 전파하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융성해져 가던 불교가 찬 서리를 맞게 되었는데, 브라만교를 바탕으로 새롭게 생긴

힌두교에 밀려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강대했던 굽타 왕조가 멸망하고 인도가 혼란에

빠지자, 왕과 귀족들은 자신의 지위를 확실히 지키기 위해 평등을 강조하는 불교보다 신분

제도를 강조하는 힌두교로 개종하고 말았습니다.

 

 

이로 인하여 불교는 인도가 아니라 불교를 전해받은 남쪽 나라들의 종교가 된 것인데, 불교

국가는 스리랑카, 태국, 미얀마 등 동남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입니다.

 

인도는 한 때 이슬람교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지만 다시 힌두교 국가가 되었습니다. 인도

각지의 습속과 토착신앙을 통합시킨 것이 힌두교의 본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세계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시황 업적은 무엇일까  (0) 2015.07.17
석가모니 부처님과 불교의 교리  (0) 2015.07.16
알파벳의 기원과 발전  (0) 2015.07.06
트로이전쟁 내용 간단 설명  (0) 2015.07.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