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청하거나 어수룩해 남들에게 자주 이용당하는 사람을 우리는 호구라고 부르지요? 아마 어릴 때 친구들에게 호구잡혀 친구들의 책가방을 들어주거나 심부름을 해준 경험이 있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아마 친구들에게 만만하게 보여 그런 것인데요, 호구의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요? 호구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호구 뜻>
흔히 멍청하거나 어리숙해 남에게 이용당하는 사람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단어인 '호구(虎口)'는 원래 '호랑이의 입(호구)'을 뜻하는 말이지만, 그 의미가 확장되어 지금은 평소 순진하거나 멍청하거나 어수룩해 마음대로 이용하기 좋은 사람이란
뜻으로 사용됩니다. 즉, 호구는 '어수룩해 남에게 이용당하는 사람'이란 뜻입니다.
우리는 어수룩해 남에게 매우 쉽게 이용당하는 사람을 낮추어 부를 때 "저 사람은 호구다"라고 표현하지요. 그러나 남들에게 호구라고 불리는 사람이 과연 남들보다 모자라서 호구라는 말을 들을까요?
그렇지않습니다. 너무 착해서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또 남을 배려하려는 마음이 보통 사람들보다 더 깊기 때문입니다. 어릴 적에 호구라고 놀림받았던 친구들은 장성하여 모두 훌륭한 사람이 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고귀한 존재입니다. 순진해서 만만하다고, 어리숙해서 이용하기 쉽다고, 배려심이 많아 남의 부탁을 잘 들어준다고 그 사람을 호구로 여기고 마음껏 이용하다가는 자신도 누군가에게 호구가 되어 이용당할 수 있으므로, 누구든지 남을 이용해 자신의 편익을 추구하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호구 유래>
어수룩한 사람을 가리켜 호구라고 부르게 된 것은 바둑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바둑에서 상대편의 바둑 석 점이 이미 둘러싸고 있는 상태를 가리키는 말도 호구라고 하는데요, 상대편의 바둑 석 점이 이미 둘러싸고 있는 곳에다가 바둑 돌을 놓으면 틀림없이 먹히므로 그 곳이 마치 호랑이의 입(호구)과 같다고 하여 바둑에서도 호구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말의 의미가 확장되어 지금은 '먹기 쉬운 먹이감'이나 '이용하기 쉬운 대상'이라는 의미로까지 확장되어 쓰이게 된 것입니다.
<호구의 또다른 의미>
① 호구(戶口) : 집의 수와 사람의 수
② 호구(狐裘) : 여우 겨드랑이 밑의 흰 털로 만든 옷
③ 호구(糊口) : 입에 풀칠만 할 정도로 겨우 끼니를 이어감
④ 호구(護具) : 검도나 태권도 등에서 몸을 보호하는 도구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심시간 근로시간 포함 여부 (0) | 2019.01.30 |
---|---|
9급공무원 나이제한 상식 (0) | 2019.01.23 |
베블렌 효과 비쌀수록 수요가 늘어 (0) | 2018.12.27 |
자아성찰 뜻 너무 좋아요 (0) | 2018.12.23 |
워너비 뜻 알아봐요 (2) | 2018.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