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장례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장례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장례 용어는 평소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어와 뜻을 정확하게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누구나
알기 쉽도록 아래와 같이 장례용어를 간략하게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임종
임종이란 목숨이 끊어져 죽음에 이르는 것을 말하는데, 우리의 장례문화에서는 사람이
운명할 때 가족들이 지켜보는 것을 임종이라고 말합니다.
2. 수시
시신을 잘 수습하고 모시는 것을 말합니다. 숨이 멎으면 솜으로 코, 귀, 입을 막고 턱을
받쳐 입을 다물게 하고, 팔과 발목을 베나 한지로 묶은 후에 병풍으로 가린 다음 병풍
앞에 영정 사진을 놓고 촛불을 밝히며 향을 태웁니다.
3. 발상
초상이 난 것을 알리는 것입니다. 발상 때는 검소한 옷을 입고 애도해야 합니다. 다만
통곡은 가급적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설전
고인을 살아계실 때처럼 모신다는 의미입니다. 전이나 포를 비롯해 고인이 살아 생전에
평소 좋아하던 음식들을 차려 놓습니다.
5. 상제
상주를 말하며 고인의 배우자와 직계자손을 상제라고 하며, 장남이 주상이 되는데,
장남이 없으면 장손이 주상이 되고, 장손이 없으면 차손이 주상이 됩니다.
6. 호상
주상을 대신하여 장례 절차를 주관해주는 사람을 말하며, 주로 나이드신 친척어른이
맡아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염습
시체를 깨끗하게 닦고 수의를 입히는 것을 말합니다.
8. 입관
관에다 고인의 시신을 넣는 절차를 말합니다. 입관이 끝나면 관을 병풍으로 가립니다.
9. 성복
상복을 입는다는 뜻입니다. 성복을 한 후에는 문상을 받습니다.
10. 발인
발인이란 고인을 장지에 모시기 위해 시신이 장례식장이나 집에서 떠나는 시점을 뜻
합니다. 발인하기 전에는 발인제를 올립니다.
11. 운구
고인의 시신을 상여나 운구차로 장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뜻하는 말입니다.
12. 하관
고인의 시신을 모신 관을 무덤 속에 넣는 절차를 말합니다.
13. 삼우제
장례를 끝낸 후 3일째가 되는 날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고인의 산소에 가서 산소
상태는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면서 거기서 제사를 올립니다.
14. 탈상
장례를 마치고 상복을 벗는다는 뜻입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경색이란 무엇인며 예방습관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0) | 2016.10.16 |
---|---|
엠자 탈모 프로페시아 효과 요약 설명 (0) | 2016.10.13 |
소주에 고추가루 사이다 물 타먹으면 (0) | 2016.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