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상식

사회적기업이란 또 인증요건은

고두암 2016. 6. 3.

사회적기업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사회적기업 인증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회적기업이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조직)을 의미합니다.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는 사회적기업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관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영리기업이 주주나 소유자를 위해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 사회적기업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영리기업과

차이가 있습니다. 

 

<사회적기업 유형>

① 일자리제공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

② 사회서비스제공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

③ 지역사회공헌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지역사회에 공헌

④ 혼합형 :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사회서비스 제공을 병행 

⑤ 기타형 : 사회적 목적의 실현여부를 계량화하여 판단하기 곤란한 경우

 

 

 

<사회적기업 의의>

①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 취약계층을 노동시장으로 통합, 보람되고 좋은 일자리 확대

② 지역사회 활성화 : 지역사회 통합, 사회적투자확충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

③ 사회서비스 확충 : 새로운 공공서비스 수요 충족, 공공서비스 혁신

④ 윤리적 시장 확산 : 기업의 사회공헌과 윤리적 경영문화 확산, 착한 소비문화 조성

 

 

<사회적기업 인증요건>

사회적기업 인증 신청 접수는 상시운영제로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연중 신청이 가능하며, 인증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조직형태

민법에 따른 법인.조합, 상법에 따른 회사,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법인 또는 비영리민간단체 등 대통령령으로

조직형태를 갖출 것. 

 

2. 유급근로자 고용

유급근로자를 고용하여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할 것.

 

 

3. 사회적 목적의 실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등 시회적 목적의 실현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할 것.

 

4.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구조 

서비스 수혜자, 근로자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 구조를 갖출 것.

 

 

5.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

영업활동을 통하여 얻은 수입이 노무비의 50% 이상일 것.

 

6. 정관의 필수사항

시회적기업육성법 제9조에 따른 사항을 적은 정관이나 규약 등을 갖출 것.

 

7. 이윤의 사회적 목적 사용 

회계년도별로 배분 가능한 이윤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윤의 2/3 이상을 사회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할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