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학 운동 초창기에 나타난 새로은 시 형식인 신체시 주요작가와 대표작품에는
어떤 작가와 작품이 있는지, 현대시의 출발점이 된 신체시 주요작가와 대표작품을
살펴보겠습니다.
신체시는 근대 사회로 발전하면서 과거의 창가와 현대의 자유시 사이의 과도기적
시가 형태로 개화사상, 남녀평등, 신교육, 자주독립 등 계몽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신체시는 1908년 최남선이 발표한 '해에게서 소년에게'입니다.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1908년 11월 <소년> 창간호에 발표되었고 소년들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표현한 작품으로 모두 6연으로 되어 있습니다.
현대시의 흐름을 살펴보면 1910년대는 계몽주의 → 상징주의, 1920년대는 낭만
주의 → 경향주의, 1930년대는 순수 → 주지→생명→자연주의와 청록파로 흘러
왔습니다.
신체시 주요작가와 대표작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구작삼편, 신대한소년, 꽃 두고
- 이광수 : 우리 영웅, 말 듣거라
- 현상윤 : 웅커리로서
신체시의 특징은 새로운 형식의 시로서 형식과 운율이 창가에 비해 매우 자유롭다는
것이며, 전통시가와 근대시의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는 것을 그 의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1920년대와 1930년대의 주요작가와 대표작품도 알아보겠습니다.
<1920년대>
- 김동인 : 감자, 배따라기, 운현궁의 봄, 약한 자의 슬픔, 발가락이 닮았다, 광화사,
광염소나타
- 염상섭 : 표본실의 청개구리, 만세전, 삼대, 두 파산
- 현진건 : 운수 좋은 날, 빈처, 무영탑, 술 권하는 사회
- 주요섭 : 사랑 손님과 어머니, 아네모네 마담, 인력거꾼
<1930년대>
- 이 상 : 날개, 오감도, 봉별기, 종생기, 권태
- 채만식 : 치숙, 탁류, 태평천하, 레지 메이드 인생
- 김유정 : 봄봄, 동백꽃, 금 따는 콩밭
- 김동리 : 무녀도, 등신불, 사반의 십자가, 바위
- 황순원 : 독짓는 늙은이, 카인의 후예, 학, 소나기
- 이효석 : 메밀꽃 필 무렵, 분녀, 산, 돈, 들
'한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자회담과 6자회담 간략 설명 (0) | 2015.06.21 |
---|---|
10구체 향가와 4구체 향가 작품 요약 (0) | 2015.06.20 |
1930년대 문학의 흐름 (0) | 2015.06.10 |
고려 상평창은 물가조절기관 (0) | 2015.06.07 |
조선 악장의 정의 (0) | 2015.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