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소리꾼이 긴 이야기를 노래하는 판소리 구성요소와 판소리 다섯마당이란
무엇인가요? 판소리 구성요소와 판소리 유파 그리고 판소리 다섯마당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판소리란 한 명의 소리꾼이 창(소리), 말(아니리), 몸짓(발림)을 섞어가면서 긴
이야기를 노래로 표현하는 예술입니다.
판소리의 구성요소에는 창, 아니리, 발림, 추임새가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창(소리) : 판소리에서 가객(소리꾼)이 부르는 노래이자 소리로 음악적인 요소
입니다.
- 아니리(말) : 창자가 한 대목에서 다음 대목으로 넘어가기 전에 장단없이 자유
로운 리듬으로 말하듯이 사설을 엮어가는 것으로 문학적인 요소입니다.
- 발림(몸짓) : 판소리 사설의 내용에 따라 몸짓으로 하는 것으로 춤사위나 형용
동작을 가리키는 연극적 요소입니다.(비슷한 말로 너름새가 있음)
- 추임새 : 고수(북치는 사람)나 청중이 가객의 소리에 감탄사를 발하여 흥을 돋
구는 것으로, 흔히 '얼씨구, 좋지, 좋다, 허이, 그렇지, 얼쑤, 아먼, 어디, 잘한다,
명창이다'와 같은 말을 사용합니다.
판소리 다섯마당에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수궁가'가 있습니다.
판소리 유파에는 '동편재, 서편재, 중고제'로 구분하며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동편제 : 전라도 동북지역 소리로 단조로운 리듬, 짧고 분명한 장단, 씩씩하고
담백한 창법이 특징입니다.
- 서편제 : 전라도 서남지역의 소리로 부드럽고 애절한 창법, 수식과 기교가 많아
감상적인 면이 강조되는게 특징입니다.
- 중고제 :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 소리로 동편제와 서편제의 절충형으로 소리의
상하성이 분명합니다.
판소리의 다른 구성요건으로 4가지는 소리꾼, 창, 고수(북치는 사람), 청중이 되
겠습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지식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 경기종목과 경기방법 생각보다 많네요 (0) | 2015.05.01 |
---|---|
마키아벨리 군주론이란 (0) | 2015.04.30 |
테니스 점수 계산은 아리송해 (0) | 2015.04.26 |
세계3대법전의 내용 간략 요약 (0) | 2015.04.23 |
국민참여재판 배심원 제도란 (0) | 2015.04.22 |
댓글